-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아이를 어르거나 잠재울 때 부르던 민요. 「금자동아 옥자동아」는 전통사회에서 아이를 돌볼 때에 부르던 노래이다. ‘금자동아 옥자동아’로 시작되는 사설을 가지며,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자주 채록된다. 「금자동아 옥자동아」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채록자는 권오경...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아이를 재우거나 달랠 때 부르던 노래. 「아기재우는노래」는 일반적으로 자장가로 통칭되며, ‘자장자장’하는 동일어구가 반복된다. 전통사회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노래이다. 「아기재우는노래」는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7-13 대구직할시 편 810-811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0일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아동에 대한 복지와 양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아동복지양육시설은 보호가 필요한 아동의 권익과 복지를 최대한 보장하고, 아동들이 가족 및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하는 시설을 말한다. 아동복지양육시설은 사회복지시설의 한 종류로서 0~18세 미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 부모[보호자]가 없거나, 부모로부터 이탈된 경우[기·미아], 부...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서정민요. 「아리랑」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의 여음구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음구는 동일하나 나머지 사설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아리랑」은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7-13 대구직할시 편 797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서정민요. 「아리랑」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의 여음구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음구는 동일하나 나머지 사설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아리랑」은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7-13 대구직할시 편 797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서정민요. 「아리랑」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의 여음구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음구는 동일하나 나머지 사설의 내용은 지역에 따라 부르는 사람에 따라 달라진다. 「아리랑」은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7-13 대구직할시 편 797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 아미사는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마을 주택 사이 작은 터에 유일한 불전인 대적광전(大寂光殿)과 요사(寮舍)가 전부인 작은 사찰이다. 2017년 현재 대적광전 앞에 3층 건물 법당을 신축 중에 있다. 1층은 공간을 높게 만들어 입구에서 대적광전이 보일 수 있는 구조로 건립하고 있다. 1960년경 창건과 함께 대적광...
-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서 일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에 행하는 세시풍속. 동지(冬至)는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태양이 가장 남쪽으로 기울어져 밤의 길이가 1년 중 가장 긴 날이다. 동짓날은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태양의 황경이 270도에 달하는 때이다. 양력으로 12월 21일 혹은 22일 경이다. 음력으로는 11월이라서, 11월을 동짓달이라고도 한...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에 위치한 복지시설. 아시아복지재단은 강만승 목사가 1945년 8월 15일 함경북도 청진 동수남교회에서 러·일 전쟁고아 133명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아시아복지재단은 1945년 함경북도 청진의 아세아고아원을 시작으로, 1953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대구시 남구 봉덕동으로 이전하여 제1아동보호소를 설립하여 전쟁고아들을 돌보는 사업을 주로 시행해왔다. 19...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에 위치한 복지시설. 아시아복지재단은 강만승 목사가 1945년 8월 15일 함경북도 청진 동수남교회에서 러·일 전쟁고아 133명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아시아복지재단은 1945년 함경북도 청진의 아세아고아원을 시작으로, 1953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대구시 남구 봉덕동으로 이전하여 제1아동보호소를 설립하여 전쟁고아들을 돌보는 사업을 주로 시행해왔다. 19...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에 있는 장애인 복지시설. 선명요육원은 중증 장애인의 사회통합과 장애인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선명요육원은 1989년 12월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동에서 개원된 이래 중증 장애인 재활과 교육활동을 지속해왔다. 2005년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으로 시설 이전을 하였다. 1989년 개원 시 선명요육원의 입소정원은 69명이었으나 증원 변경 과정을...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과 동구 동촌동을 연결하는 다리. 1983년 확장된 아양교는 총길이 230.8m, 총폭 35m, 유효폭 26m, 높이 10m, 경간수 8개, 최대경간장 32m의 교량으로 상부구조 형식은 PSCI형교, 하부형식은 라멘식이다. 1932년에 준공되었으며 1983년에 추가로 폭 35m, 길이230.8m로 확장하였다. 1970년대에 제2아양교, 1990년대 제3아양교가...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있는 대구도시철도1호선의 역. 아양교[대구국제공항입구]역은 1998년 5월 2일 대구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개통되었다. 역 이름은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으며 아양교라는 명칭은 ‘아양’이란 춘추전국시대 때 진(晉)나라의 거문고 명인인 백아(伯牙)와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에 얽힌 ‘백아절현(伯牙絶絃)’ 고사에서 따왔다. 아양루 및 아양음사와 관련이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소속 교회. 아양교회는 사람을 살리고 사람을 키우고 사람을 고치는 교회가 되기 위하여 설립했다. 아양교회는 1980년 8월 20일 아양교회 개척 준비위원을 모았다. 1981년 11월 4일 어린이 선교원이 개원했다. 1983년 11월 13일 현 아양교회 부지로 이전하고 아양교회 입당 예배를 했다. 1989년 10월 08일 아양교회를 확장...
-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폐철교를 공공디자인과 접목해 만든 문화공간. 아양기찻길은 아양철교로 운영하던 기찻길을 개선하여 만든 시민문화공간이다. 아양철교는 193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기찻길로 운영되었으나, 2008년 2월에 대구선 도심구간이 외곽으로 옮겨지면서 열차운행이 중단되었다. 아양철교는 매우 낡아서 주민들의 철거 요구 민원이 많았으나, 대구광역시 동구는 1936년...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서 동구 지저동까지 이어지는 도로. 도로명은 이 도로가 금호강을 건너는 아양교에서 유래했는데, 아양교 인근에는 원래 아양루가 위치하고 있었다. 아양로는 길이 3,513m, 너비 30m, 왕복 6차선의 가로이다. 아양로는 1974년 5월 1일 도로명이 제정되고, 2010년 3월 31일 도로명주소의 도로명으로 고시되었다. 아양로는 공고네거리에서 서쪽으로 신암로와...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금호강 절벽 위에 있는 광복 직후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는 누정. 아양루는 당시 대구지역 유림의 후예가 주축이 되어 아양음사(峨洋吟社)를 결성하면서 세운 누정이다. 아양음사는 1950년 한국전쟁으로 잠시 활동이 침체되었다가, 1953년에 다시 모임을 결성하였다. 아양음사는 1956년에 아양루를 중수하여 음풍농월(吟風弄月)[맑은 바람과 밝은 달 속에서 시를 지으...
-
대구광역시 동구 금호강변 아양루에서 열리는 시회(詩會). ‘아양’이란 춘추전국시대 때 진(晉)나라의 거문고 명인인 백아(伯牙)와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에 얽힌 ‘백아절현(伯牙絶絃)’ 고사에서 따왔다. 백아가 거문고로 높은 산을 표현하면 종자기는 “높고 높도다, 그 뜻은 태산처럼 높구나![峨峨乎志在高山]”라고 하고, 큰 강을 나타내면 “넓고 넓도다, 그 뜻은 황하강 같구나![洋洋...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위치한 아양교역 지하 2층 대합실 공간에 있는 홍보관. 아양명소 홍보관은 대구광역시 동구청이 주도한 제7회 세계물포럼을 대비하기 위한 관광기반시설 확충사업과 도시철도공사가 2014년부터 실시한 1역 1특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동구청은 아양명소 홍보관을 만들어 아양교역을 중심으로 2㎞구간인 제2아양교부터 제3아양교까지 금호강을 배경으로 한 18개소...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위치한 문화예술센터. 아양아트센터는 대구광역시 동구민과 인근 지역민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 예술 프로그램을 마련해 첫째, 지역민들에게 폭넓은 경험과 인식을 높여주고, 둘째, 문화 충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셋째, 지역 사회의 창의적 발전을 도모하고 건강 증진에 기여하기 위해서 건립되었다. 아양아트센터는 2001년 8월에 착공하기 시작해 2004...
-
대구광역시 동구 금호강변 아양루에서 열리는 시회(詩會). ‘아양’이란 춘추전국시대 때 진(晉)나라의 거문고 명인인 백아(伯牙)와 그의 친구 종자기(鍾子期)에 얽힌 ‘백아절현(伯牙絶絃)’ 고사에서 따왔다. 백아가 거문고로 높은 산을 표현하면 종자기는 “높고 높도다, 그 뜻은 태산처럼 높구나![峨峨乎志在高山]”라고 하고, 큰 강을 나타내면 “넓고 넓도다, 그 뜻은 황하강 같구나![洋洋...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위치했던 공립 중학교. 아양중학교의 교훈은 ‘바르게 행동하고[정직, 질서] 착하게 생활하며[선행, 예절] 열심히 공부하자[학습, 탐구]’이다. 아양중학교는 1980년 12월 15일 45급 규모로 대도여자중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1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1981년 3월 5일 제1회 입학생은 15학급 1,028명에 달했다. 1984년 2월 20일...
-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폐철교를 공공디자인과 접목해 만든 문화공간. 아양기찻길은 아양철교로 운영하던 기찻길을 개선하여 만든 시민문화공간이다. 아양철교는 193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기찻길로 운영되었으나, 2008년 2월에 대구선 도심구간이 외곽으로 옮겨지면서 열차운행이 중단되었다. 아양철교는 매우 낡아서 주민들의 철거 요구 민원이 많았으나, 대구광역시 동구는 1936년...
-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아양초등학교의 교육 목표는 첫째,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스스로 생각하여 지혜를 쌓아가는 어린이, 둘째, 행동으로 모범을 보이며 바른 인성을 실천하는 어린이, 셋째, 나의 몸과 마음을 건강히 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소중히 하는 어린이, 넷째, 미래를 꿈꾸며 자신의 소질과 특기를 계발하는 어린이를 육성하는 데 있다. 교훈은 ‘슬기롭게...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불리는 아이 어르는 소리. 「알강달강」은 전통사회에서 아이를 돌볼 때에 부르던 노래이다. 주로 부녀자들이 육아를 담당하였을 것이나 조부모들이 아이를 돌보는 경우도 있으므로 부녀요로 한정지을 수 없다. 일종 육아를 할 때 부르는 육아요로 볼 수 있다. 「알강달강」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으며...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불리는 아이 어르는 소리. 「알강달강」은 전통사회에서 아이를 돌볼 때에 부르던 노래이다. 주로 부녀자들이 육아를 담당하였을 것이나 조부모들이 아이를 돌보는 경우도 있으므로 부녀요로 한정지을 수 없다. 일종 육아를 할 때 부르는 육아요로 볼 수 있다. 「알강달강」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으며...
-
대구광역시 동구 덕곡동에 있는 근현대 미술관. 리볼타는 근현대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1998년에 개관했다. 리볼타는 작가 발굴과 미술시장 활성화를 목표로 1998년 공산갤러리 상호로 개관하였다. 2007년 아트대구 국제아트페어를 창설하여 2011년까지 주최, 주관하였으며 2016년부터 상호를 리볼타로 변경하였다. 리볼타는 근현대 미술작품 상설전시와 특별전시 및 이...
-
대구광역시 동구 일대의 아파트. 대구광역시에서 아파트가 지어진 역사는 대한주택공사가 총무처 주관으로 1966년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에 건설한 공무원 아파트에서 비롯된다. 공무원 아파트는 공무원의 주거 안정을 위해 40㎡[12평] 36가구와 50㎡[15평] 24가구를 건립한 것으로 각종 도시 시설이 미비했던 당시의 사정을 감안한다면 질적으로는 서민주택 수준 이상의 주택이라고 할 수...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에서 한국전쟁 시기 활동한 공산 비정규군. 안병화는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 지리산 남부군 선전부장으로 활동하였다. 1952년 1월 2,000여 명이 토벌되고 500명이 전사한 수도사단의 지리산 대성골 대토벌 때에 피신하여 대구광역시 동구 소재 팔공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4지구당에 들어왔다. 4지구당의 위원장은 남도부였다. 1953년 김일성의 지령인 하산 도심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