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리깨질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251
영어공식명칭 Dorikkaejil Sori (Farmers’ Song)
이칭/별칭 옹헤야소리,보리타작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5년 9월 24일 - 「도리깨질소리」 권오경, 김기현 채록
채록지 「도리깨질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도리깨질소리」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
성격 노동요
토리 메나리토리
출현음 미·솔·라·도·레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선후창 형식
박자 구조 3소박 4박
가창자/시연자 박기연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보리타작할 때 부르던 소리.

[개설]

도리깨질 소리는 농사일 중에서도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보리타작 노래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사설은 보리타작 하는 모습을 묘사하거나 일꾼들을 격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도리깨질소리」 중에서도 ‘옹헤야’의 여음을 가진 옹헤야소리가 많이 보인다.

[채록/수집 상황]

「도리깨질소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일은 1995년 9월 24일이고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이다.

[구성 및 형식]

「도리깨질소리」는 선후창 형식이다.

[내용]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도리깨질소리」는 ‘옹헤야’의 후렴구를 가지는 옹헤야소리이다. 사설의 내용은 주로 행동을 지시하거나 보리의 모습을 묘사한다.

(후)옹헤야 (선)요게때리라

(후)옹헤야 (선)요놈으보리가

옹헤야 새로아보린가/옹헤야 붉기도붉다

옹헤야 요놈으보리가/옹헤야 깨구리보린가

옹헤야 뛰기도뛴다/옹헤야 넘어간다

옹헤야 요놈으보리가/옹헤야 양반으보린가

옹헤야 수염도질다/옹헤야

[현황]

도리깨질 소리는 요즘 기계로 탈곡을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도리깨질소리」가 불리지 않는다. 농요보존회를 중심으로 소리가 전승되고 있는 실정이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도리깨질소리」는 지역의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옹헤야’의 후렴구를 가지는 옹헤야소리로 지역성을 갖추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