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1287 |
---|---|
영어공식명칭 | Yeochi Taryeong (Folk Song) |
이칭/별칭 | 항굴레비노래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3년 8월 10일 - 「여치타령」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채록 |
---|---|
채록지 | 「여치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
가창권역 | 「여치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성격 | 민요|서사민요 |
토리 | 메나리토리 |
출현음 | 미·솔·라·도·레·미 |
기능 구분 | 서사민요 |
형식 구분 | 독창 |
박자 구조 | 3소박 4박 |
가창자/시연자 | 김월생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불리는 서사민요로 아이를 낳지 못한 사람이 여치를 잡아 자식처럼 어르는 내용으로 이루어진 민요.
「여치타령」은 「항굴레비노래」라고 불린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여치타령」은 자식을 낳지 못하는 여인이 여치를 자식처럼 여겨 여치의 몸 각 부위를 집안 식구들과 연관지어 부르는 노래이다. 자식을 낳지 못하는 슬픈 현실이지만 사설의 내용은 반대로 재미있는 표현을 위주로 하였다.
「여치타령」은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7-13 대구직할시 편 804-808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0일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여치타령」은 서사민요로 혼자서 부르는 노래이다. 즉 독창 형식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여치타령」 사설의 내용을 보면, 주인공 여인이 자식을 낳지 못하는 슬픈 현실 속에 있지만 집안 일가친척들의 특징을 예로 들어가며 재미있게 이야기를 꾸려가고 있다.
아이코아이코 왠일고/아이코이기이 왠일고/풀밭에 나려와/아이코이거 왠일고/아이코아이코 좋구나/부처님도 영검있네/풀밭에 널낳아/너에이름을 머로하꼬/
풀밭에 너를낳아/풀천이라꼬 부르지/천아천아 풀천아/어히코어히코 왠일고/헌출받기도 잘났다/헌출받기도 잘났다/허리가 능청한거는/너가아비로 닮았나/
이매가 훨씬 까진거보니/위조보님을 닮았다/아릿도리 엉성한거는/너가아바이로 닮았나/어사판사 할라커나/금관석은 왜썼노/진사급지로 할라커나/
접촐렵을 입었네/글자이나 할라나/먹물은찔끔 내놓노/위조보님을 닮았다/구리쉬염은 왠일고/아릿배가축 처진걸보니/위조모님을 닮았구나/
눈초리가 반들반들한거는/새별같이도 생겼다/아릿도리 멀쑴한거보니/양복깨나 입겠네/발꾸미쏙 나온거보니/구두깨나 신겠네/눈알이쪽 째젼거보니/새별같이도 생겼다/
아이코아이코 좋하라/아이코이거 왠일고/천아천아 풀천아/니거애비로 닮았나/칠안에 오입가노/포항고모가 알았이마/미역단이나 올낀데에/
서울고모가 알았이마/니비두디기 해오제/재피네 고모가 알았이마/참지름비이나 돌오제/산입고모가 알았이마/장작바리나 돌오제/대구고모가 알았이마/광목통이나 돌오제/
아이코아이코 왠일고/아이코아이코 조화라/아이고 천아천아 풀천아/니개비로 닮았나/칠안에 오입가노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여치타령」은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서 거주하는 나이 많은 어른들 중에서도 서사민요를 온전히 구연하는 주민은 드물며, 단편적인 사설을 기억해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여치타령」은 지역의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서사적 특성이 갖추어진 면에 있어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여치타령」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북부지역에서 주로 채록되는 민요로 지역성을 가지며, 여인의 아픔을 재치있는 문구로 승화시킨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