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0905
한자 聾淵書堂
영어공식명칭 Nongyeon Village School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용천로 323[용수동 665-2]
시대 조선/조선 후기,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송은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644년연표보기 - 농연서당 건립
개축|증축 시기/일시 1929년 - 농연서당 중건
현 소재지 농연서당 - 대구광역시 동구 용천로323[용수동 665-2]지도보기
성격 서당
양식 팔작지붕
정면 칸수 5칸
측면 칸수 1.5칸
소유자 경주최씨 대암공파 종중
관리자 경주최씨 대암공파 종중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 있는 경주최씨 대암공파 종중 서당.

[개설]

대암(臺巖) 최동집[1586~1661]은 현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옻골 마을 경주최씨(慶州崔氏) 입향조로 1640년(인조 18) 인질의 신분으로 중국 선양[瀋陽]으로 가는 봉림대군[효종]의 사부로 선발이 되었지만, 일이 여의치 않아 심양 길에 합류하지 못했다. 그 후 1644년(인조 22)에 명나라가 멸망하자 숭정처사(崇禎處士)를 자임하며 이곳으로 들어와 정자를 짓고 평생을 은거하였다.

[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 삼거리에서 동화사 방면으로 3.8㎞쯤 가다 보면 우측으로 신안사랑마을요양원으로 가는 급한 우회전길이 있다. 이 길을 따라 남쪽으로 마을을 통과하여 1㎞쯤 가면 왼쪽으로 독불사와 소나무 숲이 있고 그 우측으로 농연서당이 보인다.

[변천]

농연서당은 1644년경 경주최씨 대암공파 파조인 최동집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농연바위 위에 건립한 정사를 기원으로 한다. 이후 최동집의 5세손인 최흥원이 복원하였으나 1930년 대홍수와 1980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1981년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형태]

농연서당은 정면 5칸, 측면 1.5칸 규모의 홑처마 팔작지붕 건물이다.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평면은 좌에서 우로 2칸 방, 2칸 대청, 1칸 방이며, 앞쪽으로 반 칸 툇간이 있다. 담장은 돌담이며 대문은 1칸 규모의 평대문이다.

[현황]

농연서당 관리는 경주최씨 대암공파 종중에서 하고 있으며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근래에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 지역이 팔공산 올레길 등으로 개발이 되어 찾는 이들이 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경주최씨는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 자락에 세거하고 있는 주요 토박이 성씨 중 하나이다. 그중에서도 농연서당을 중심으로 하는 용수동의 최씨들은 조선 중기 대구의 대표적 유학자 중의 한사람인 최동집의 후손들이다. 따라서 농연서당은 이 지역의 인물·역사·전통을 이해하는 데 있어 귀중한 유적이다. 또한 「농연구곡(聾淵九曲)」의 소재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