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0590 |
---|---|
한자 | 崔東㠍 |
영어공식명칭 | Choe Dongjip |
이칭/별칭 | 진중(鎭仲),대암(臺巖)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황동권 |
출생 시기/일시 | 1586년 9월 19일 - 최동집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616년 - 최동집 사마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627년 - 최동집 후금이 쳐들어오자 의병을 일으킴 |
활동 시기/일시 | 1639년 - 최동집 경학으로 천거되어 장릉 참봉에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644년 - 최동집 팔공산 부인동에 은거함 |
몰년 시기/일시 | 1661년 6월 7일 - 최동집 사망 |
출생지 | 최동집 출생지 - 대구광역시 동구 해안동 |
거주|이주지 | 최동집 거주지 -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
수학|강학지 | 최동집 강학지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
묘소|단소 | 최동집 묘소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
성격 | 문인 |
성별 | 남성 |
본관 | 경주 |
대표 관직|경력 | 장릉 참봉|사부 |
[정의]
조선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해안동 출신 문인 학자.
[개설]
최동집은 한강 정구의 문인으로 전란으로 소실된 연경서원(硏經書院) 신축을 주도했으며, 효종이 대군으로서 심양(瀋陽)에 인질로 갈 때 사부(師傅)로 선발되었으나 함께하지 못하였고, 또 명나라가 멸망하자 대구 팔공산(八公山) 부인동(夫仁洞)에 은거하여 평생 세상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가계]
최동집의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진중(鎭仲), 호는 대암(臺巖)이다. 신라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최해(崔海), 할아버지는 최종옥(崔宗沃), 아버지는 최계(崔誡), 어머니는 순창설씨(淳昌薛氏)로, 설근(薛勤)의 딸이다. 부인은 여주이씨(驪州李氏)로, 무첨당(無忝堂) 이의윤(李宜潤)의 딸이자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증손녀이다. 여주이씨 사이에서 아들 하나를 두었는데 위남(衛南)이고, 다른 부인 사이에서 6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최재남(崔載男)·최세남(崔世男)·최국남(崔國男)·최제남(崔濟男)·최직남(崔直男)·최여남(崔汝男)이며, 딸은 서연(徐兗)에게 시집갔다.
[활동 사항]
최동집은 1586년(선조 19) 9월 19일에 대구부 해안현(解顔縣)[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해안동]에서 태어났다. 처음에는 상사 유해(兪諧)에게 수학했다가, 얼마 뒤에 사수(泗水)에 가서 한강(寒岡) 정구(鄭逑)에게 수학하였다. 1616년(광해군 8)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얼마 뒤에 대과에 응시했으나 격식을 어겼다는 이유로 명단에서 빠졌다. 하지만 임금이 그의 특출함을 인정하면서 『삼강이륜도(三綱二倫圖)』를 하사하였다.
1627년(인조 5) 후금이 쳐들어왔을 때 세자가 완산(完山)에서 군사를 위로하고 진주로 방향을 바꿔 내려오자, 최동집은 선비 수십 명과 의병을 일으켜 팔량령(八良嶺)에서 세자를 맞이해 호위하려고 하였다. 이때 규모와 계획이 대부분 최동집에게서 나왔다고 한다. 1639년(인조 17)에 경학으로 천거되어 장릉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얼마 뒤에 고향 해안현으로 돌아왔다. 1640년(인조 18)에 효종이 대군으로서 심양(瀋陽)에 인질로 갈 때 사부(師傅)로 선발되었다. 서둘러 한양으로 올라갔으나, 수원에 이르러서 길이 멀어 기일을 맞추기 어렵다고 하여 교체되었다. 1644년(인조 22)에 명나라가 망하자 대구 팔공산(八公山) 부인동(夫仁洞)[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 들어가서 농연(聾淵) 위에 집을 짓고 평생 세상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한편, 고을에 있던 연경서원(硏經書院)이 전란 중에 소실되었는데, 향인들과 협력하여 서원을 신축하고 퇴계 선생을 제향하여 학생들이 강학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함께한 벗들은 당대의 인재들로,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 수암(守菴) 정사진(鄭四震), 쌍봉(雙峯) 정극후(鄭克後), 기옹(畸翁) 박공구(朴羾衢) 등이다. 1661년(현종 2) 6월 7일 세상을 떠나니, 향년 76세였다.
[학문과 저술]
최동집이 남긴 4권 2책의 『대암집(臺巖集)』이 있다.
[묘소]
최동집의 묘소는 대구부 해북촌(解北村) 직지동(直枝洞)[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