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0369
한자 桐華寺念佛庵磨崖如來坐像및菩薩坐像
영어공식명칭 Rock-carved Seated Buddha and Seated Bodhisattva at Yeombulam of Donghwa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불상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도학동 35]
시대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최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고려시대 -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 제작
문화재 지정 일시 1988년 5월 30일연표보기 - 대구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대구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
현 소장처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 - 대구광역시 동구 동화사1길 1[도학동 산124-32]지도보기
원소재지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201길 41[도학동 산124-1]
성격 불상
재질 자연암반
크기(높이) 4m[동화사 염불암 마애여래좌상]|4.5m[동화사 염불암 보살좌상]
소유자 동화사
관리자 동화사
문화재 지정 번호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 부속암자인 염불암 경내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

[개설]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은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로 높이는 여래좌상 4m, 보살좌상 4.5m이다. 염불암 경내에 우뚝 솟은 암석의 서·남면에 얕게 부조되었으며, 서쪽면 동화사 염불암 마애여래좌상은 아미타불(阿彌陀佛), 남쪽면의 동화사 염불암 보살좌상은 관음보살(觀音菩薩)로 추정된다.

[형태]

[동화사 염불암 마애여래좌상]

동화사 염불암 마애여래좌상은 선각(線刻)[선으로 새김]에 가깝게 부조되었다. 소발(素髮)[민머리]의 머리 위에 육계(肉髻)[부처 정수리에 불룩 솟아오른 부분]는 작은 편이다. 네모진 비만형의 얼굴은 치켜 올라간 긴 눈과 두툼한 코, 얇은 입술로 인해 숭고미(崇高美)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 당당하게 조형된 동체(胴體)는 앉은 높이에 비하여 무릎 폭이 넓어 안정감이 있으며, 우견편단(右肩偏袒)[오른쪽 어깨는 가사를 벗어서 노출되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있는 형식]의 얇은 법의(法衣)는 단절된 몇 겹의 의문(衣文)[옷자락 무늬]으로 주름져 있다. 특히 왼팔과 상체 사이의 여백에도 중첩된 쐐기형의 옷주름을 선각하였는데, 이는 독립된 원각상(圓刻像)[전후좌우 어디서나 볼 수 있게 조각한 것]을 모본으로 삼았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보인다.

두 손은 무릎 위로 모아 손바닥을 위로 향하고, 서로의 엄지를 마주 대며, 검지를 꾸부려 손가락 등을 맞닿게 하는 아미타불의 미타정인(彌陀定印)을 맺고 있다. 결가부좌(結跏趺坐)[두 다리를 서로 교차시켜 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것]한 무릎 밑으로 흘러내린 법의 자락은 세 겹의 횡적인 옷주름으로 마무리되었다. 2중의 연꽃잎으로 구성된 대좌 밑으로 구름무늬를 새겨 천상계(天上界)를 표현하였다.

[동화사 염불암 보살좌상]

회화성이 짙은 각선(刻線)을 보여 주는 동화사 염불암 보살좌상은 머리에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다. 보관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면에 인동문(忍冬文)[팔메트, 덩굴무늬]을 새겼으며 그 하부에 영락(瓔珞)[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을 배열하였다. 보관 밑에는 나발(螺髮)의 머리가 이마 위에 돌려져 있다. 네모진 비만형의 얼굴 크기에 비하여 이목구비는 작게 표현되었다. 입과 코가 맞붙어 둔중한 인상을 풍긴다. 목은 거의 생략된 채 가슴 언저리에 삼도(三道)가 선각되어 있다. 좁은 어깨 폭으로 인하여 동체는 위축되었다. 법의의 옷주름은 왼쪽 어깨에서 자연스럽게 흘러내려 하체에 이르고 있으나 활력을 잃고 있다. 두 손은 오른손을 가슴 앞에서 들고 왼손은 무릎 위에 놓아 긴 연꽃가지를 잡고 있다. 두 손목에는 꽃잎이 새겨진 팔찌를 끼었다. 오른팔 상반부에는 영락과 꽃잎이 장식된 팔찌[腕釧]를 끼고 그 왼쪽 면에는 이를 묶은 두 줄의 장식고리끈이 늘어져 있다. 대좌는 아미타불의 대좌와 동일한 꽃잎 내부에 다시 화려한 꽃무늬가 선각된 2주의 앙련좌(仰蓮座)로 되어 있다. 착의법(着衣法)은 상의[天衣]와 하의[裙衣]를 걸치는 일반적인 보살 옷과 달리 우견편단으로 입혀진 법의 모양이다. 이러한 복장은 백의관음(白衣觀音)을 표현하려는 의도로도 보이나 보살상 복장으로서는 이례적이다.

[특징]

동화사 염불암 보살좌상은 당당한 체구로 표현된 동화사 염불암 마애여래좌상에 비하여 섬약한 느낌을 준다. 하지만 네모진 비만형의 얼굴과 둔중한 표정, 형식화된 옷주름과 대좌의 형식 등에서 공통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의의와 평가]

동화사염불암마애여래좌상및보살좌상은 고려 전기 불상 조각 기법과 양식을 이해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1988년 5월 30일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 정영호, 「팔공산염불암」(『고고미술』7, 한국미술사학회, 1961)
  • 『대구문화재사랑』 (대구광역시, 1997)
  • 문화재공간정보서비스((http://www.gis-heritage.go.kr)
  • 문화재청(http://www.cha.go.kr)
  • 팔공총림 동화사(http://www.donghwasa.net)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