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0139 |
---|---|
한자 | 交通 |
영어공식명칭 | Traffic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진원형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주요 도로와 교통수단 및 관련 시설.
[변천]
고려 시대의 역참 제도를 보면 전국에 22개 도(道)가 있었는데 경상도에서는 경주도(慶州道), 금주도(金州道), 상주도(尙州道), 경산부도(京山府道)의 4개 도가 있었다. 그 중 경주도는 대구 동부 지역, 경산, 영천, 경주와 경상북도 동해안 일대를 잇는 도로로 23개의 역이 있었으며, 대구 지방에는 현재 수성구 범어동(泛魚洞)[동구 신천동과 접함]에 범어역(凡於驛)이 있어 대구 동부 지역의 교통중심지 역할을 담당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조선전기에도 범어역이 대구, 고령, 성주 일대를 연결하는 금천도(金泉道)에 속해 있다가, 조선 시대의 역로 조직이 완성된 1462년(세조 8)에는 청도, 밀양, 현풍, 창녕 일대의 성현도(省峴道)에 속하게 된다. 조선 후기에 와서 김정호의 대동지지나 대동여지도에도 범어역이 위치한다. 당시 대구읍성을 중심으로 동쪽으로는 범어역에서 경산시 압량읍의 압량역(押梁驛)으로 향하거나, 금호강을 건너 경산시 하양읍의 화양역(華陽驛)에 이르는 길이 있었다. 또한 대구읍성이나 칠곡읍에서 팔공산 남부산지로 길이 통과하며, 팔공산 줄기의 재를 넘어 영천 신녕의 장수역(長水驛)이나 경산 하양으로 향하였다.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조사에 의하면 대구에는 범어역과 달성군 하빈면의 금천역 등 2개의 역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있다.
[동구의 도로 교통]
대구광역시 동구를 통과하는 도로는 고속국도 3개 노선, 일반국도 1개 노선, 기타 광역시도 및 구군도로 구성되어있다. ‘동구통계연보’의 2015년 말 기준 자료에 의하면, 대구광역시 동구의 도로 총연장은 379.709㎞이며, 도로 포장률은 100.0%를 나타내고 있다. 이 가운데 고속국도는 26.27㎞, 일반국도는 14.689㎞이다. 또한 국토교통부의 ‘도로현황조서’에 의하면 2016년 말 동구의 광역시도는 126.285㎞, 구도는 214.669㎞로 나타났다.
동구를 통과하는 고속국도는 경부고속도로[고속국도 제1호선], 익산포항고속도로[고속국도 제20호선] 및 대구부산고속도로[고속국도 제55호선] 3개 노선이 있으며, 동구 통과 구간은 모두 금호강 북동쪽으로 개설되어있다. 1970년 개통된 경부고속도로는 동구 숙천동과 불로동 사이를 통과하며, 동구 구간의 연장은 13.75㎞, 왕복 8차로이다. 2004년 개통된 익산포항고속도로의 대구포항고속도로 구간은 동구 도동과 능성동 사이를 통과하며, 동구 구간의 연장은 9.09㎞, 왕복 4차로 도로이다. 2006년 개통된 대구부산고속도로는 중앙고속도로의 일부로서 민자고속도로이다. 동구에서는 율하동과 용계동을 통과하며, 동구 구간 연장은 3.43㎞, 왕복 4차로 도로이다. 2004년 대구포항고속도로가 개통됨에 따라 경부고속도로와 대구포항고속도로의 도동분기점이 개설되었다. 또한 2006년 대구부산고속도로 개통으로 기존의 경부고속도로 동대구나들목은 대구부산고속도로와의 동대구분기점으로 변경되어 개설되었다.
동구를 통과하는 일반국도는 국도4호선 하나가 있다. 국도4호선은 전라북도 군산에서 경상북도 경주까지 연결되는데 동구 구간의 연장은 14.689㎞이며, 서쪽 신암동에서 동쪽 숙천동에 이르는 동구의 남부지역 시가지를 동서로 통과한다. 신암동에서 대구도시철도1호선 동구청역 옆을 지나 금호강의 화랑교를 건너 반야월·안심 지역에 와서는 대구도시철도1호선 율하역, 신기역, 반야월역, 각산역, 안심역을 지나 경산시 하양읍으로 연결된다.
광역시도와 구도는 동구의 시가지와 산지에 두루 분포되어있다. 동구의 경우, 금호강 남서쪽의 동대구역 일대 신천동·신암동·효목동의 시가지에는 도로망이 그물망처럼 얽혀 있으며, 금호강을 건너서는 동촌, 반야월, 안심을 통과하여 경산시 하양읍으로 향하는 남동부 도로와 대구국제공항에서 불로동, 이시아폴리스를 거쳐 팔공산 일대, 경산시 와촌면으로 향하는 북동부 도로 등 두 개의 도로축이 형성되어있다. 특히 하양읍 방면 남동부 도로는 대구도시철도1호선 및 국도4호선 노선과 대체로 일치한다. 또한 대구 도심부에서 금호강의 아양교, 화랑교, 공항교 등 교량을 통과하여 남동부 및 북동부 도로망으로 연결된다. 동구에 개설된 광역시도 중 동대구로, 아양로, 동북로, 신암로, 송라로 등은 금호강 남서부 동대구역 일대의 신천동·신암동·효목동 시가지를 통과한다. 안심로, 동촌로, 화랑로 등은 금호강 남동부 도로망을 통과하며, 공항로, 팔공로, 파계로, 팔공산로, 갓바위로 등은 북동부 도로망을 구성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 일부 도로는 금호강을 건너 두 지역을 통과하는 것도 있다. 한편, 금호강을 따라서는 금호강변로가 통과하며, 신천변으로는 신천동로가 통과하고 있다. 동구 안심[반야월] 지역에서 금호강을 가로질러 수성구 범물동 쪽으로 범안로가 개설되어있다.
[도로 교량 및 터널]
동구는 험준한 산지가 넓게 분포하여 산간 계곡이 수없이 뻗어 있고, 평탄한 시가지는 금호강과 그 지류들이 흐르고 있어 도로상 교량이 많이 가설되어있다. 국토교통부의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에 동구의 교량으로 분류된 것은 2016년 말 147개이다. 도로종류별로는 고속국도에 78개, 광역시도에 52개, 구도에 17개의 교량이 가설되어있다. 고속국도에는 경부고속도로 40개, 익산포항고속도로 19개 및 대구부산고속도로에 19개 교량이 가설되어있다. 익산포항고속도로의 동구 구간은 팔공산지와 그 주변 환상산맥의 계곡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장대교가 많다. 도동의 도동대교는 길이 1,000m[대구방향]에 달하며, 진인동의 진인1교는 330m[대구방향]에 달한다. 대구부산고속도로의 교량 중 용계동의 용계2교가 360m에 이른다. 대구광역시도의 교량 52개 중 장대교는 효목고가교[효목동, 570m], 불로천교[불로동, 500m], 율하고가교[율하동, 406.3m], 안심교[동호동, 360m], 화랑교[효목동, 275m] 등이 있다.
국토교통부의 ‘도로 교량 및 터널 현황 조서’에 2016년 말 동구에 가설된 터널은 모두 4개이다. 팔공산 남부의 산지를 통과하는 익산포항고속도로에 도평터널, 백안터널, 와촌터널 등 3개의 터널이 통과하며, 이 중 와촌터널의 경우 길이가 2,992.5m[대구 방향]에 달한다. 또한 대구광역시도 팔공로에는 공산터널이 뚫려있다.
[동구의 철도와 항공 교통]
대구광역시 동구는 서울특별시와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한국 철도의 중추 간선노선인 경부선 철도가 통과한다. 1905년 1월 1일 전 구간 개통된 경부선은 동구 신천동과 효목동의 약 3.5㎞ 거리를 통과한다.
동구는 또한 대구선 철도의 통과지역이다. 수성구 가천역[화물취급역]에서 영천역을 연결하는 대구선 철도는 원래 동구의 시가화 지역인 동대구역~동촌역~반야월역~청천역 구간을 통과하였으나, 2005년 11월 1일 대구선 철도 이설사업으로 동대구역~가천역~금강역~청천역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대구선은 동구 금호강변의 안심지역을 통과하며, 이곳 금강동에는 대구선 이설사업으로 폐역된 동촌역과 반야월역을 통합하여 금강역이 있다.
경부선 철도의 역으로서는 1971년 12월 29일 동구 신암동에 동대구역이 준공되어 기존의 대구역을 대신하여 대구의 거점역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이후 2004년에 경부고속철도 1차 개통을 맞아 동대구역 남쪽에 새로운 역사를 짓고 구 역사와 통합하여, 동대구역에 KTX가 정차하게 되었으며, 2016년 12월 9일 이후 SRT도 정차하게 된다. 2016년 12월 12일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신천동]가 동대구 역사 앞에 개장되어 기존 동대구고속버스터미널과 동부·남부시외버스터미널이 통합된 버스터미널 및 신세계백화점이 들어서고, 동대구 역사와 도시철도1호선역까지 바로 연결돼 다양한 교통시설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동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에서 동구 괴전동을 연결하는 대구도시철도1호선이 통과한다. 대구도시철도1호선은 1998년 5월 2일 종점인 동구 괴전동의 안심역[혁신도시·첨복단지]까지 개통되어 현재 총 32개 역이 운영되고 있다. 동구에는 신천역, 동대구역, 동구청역, 아양교역, 동촌역, 해안역, 방촌역, 용계역, 율하역, 신기역, 반야월역, 각산역, 안심역에 이르는 13개 역이 위치하고 있다.
동구 지저동에 위치한 대구국제공항은 민간공항이자 군 공항이다. 1961년 4월 부산비행장 대구출장소가 설치되면서 국내선 취항이 시작되었고, 1962년 대구공항이 개항하였으며 1994년 일본 후쿠오카와 연결되는 국제선이 취항하면서 국제공항이 되었다. 2017년 10월 기준, 직항 여객노선 가운데 국내선은 서울[인천], 제주 노선이 있으며 국제선은 중국 4개 노선, 홍콩 1개 노선, 일본 5개 노선, 필리핀 1개 노선, 타이완 1개 노선, 베트남 1개 노선이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