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0610 |
---|---|
한자 | 崔興之 |
영어공식명칭 | Choe Heungji |
이칭/별칭 | 흥좌(興佐),중빈(仲賓),서고(西皐)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장인진 |
출생 시기/일시 | 1732년 10월 17일![]() |
---|---|
몰년 시기/일시 | 1786년 7월 16일![]() |
출생지 | 최흥지 출생지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 |
묘소|단소 | 최흥지 묘소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
성격 | 문인 |
성별 | 남 |
본관 | 경주 |
조선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출신의 문인.
최흥지(崔興之)의 본관은 경주(慶州)로, 초명은 흥좌(興佐), 자는 중빈(仲賓), 호는 서고(西皐)이다. 최흥지는 조선 개국원종공신으로 병조판서에 오른 뒤 광정(匡靖)이라는 시호(諡號)를 받은 최단(崔鄲)의 후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경류(崔慶流)이고, 할아버지는 최수익(崔壽益)이며, 아버지는 최봉석(崔鳳錫)이다. 어머니는 박명채(朴明采)의 딸인 순천박씨(順天朴氏)이다. 부인은 신하구(申夏龜)의 딸인 아주신씨(鵝洲申氏)인데 슬하에 아들 최기진(崔箕鎭)과 신광계(申光啓)에게 출가한 딸이 있다.
최흥지는 겨우 첫돌을 넘겨서 아버지를 잃고 계부(季父)의 사랑을 받고 자랐다. 8세에 『십구사략』을 배우는데 십여 장을 읽어가면서 글 뜻을 스스로 이해하였으며 13~14세 때 사서(四書)의 글을 두루 읽었다. 16세에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동문들과 공부할 때는 책상에 바로 앉아서 사서(四書)와 『심경』, 『근사록』, 『주자서절요』 등을 숙독해서 깊은 뜻을 동문들과 확인한 후 스승 최흥원에게 물어보고 바로잡았다. 학문을 하는 데 착실하였고 학식과 이해가 정밀하였다. 일상생활은 윤리도덕에서 벗어나지 않았고 논변은 인의(仁義)를 위주로 하였으며, 이치를 분석하는 데 상세하였고, 일 처리는 치밀하였다.
최흥지의 묘소는 대구광역시 해서촌 가사동(佳沙洞)[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