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0496
한자 大邱東內洞支石墓
영어공식명칭 Dolmen of Dongnae-dong, Daegu
이칭/별칭 대구 동내동 고인돌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423-1|동내동 191|동내동 388-1|동내동 산 62
시대 선사/청동기
집필자 배성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99년 - 대구 동내동 지석묘 발굴 조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8년~2010년 - 대구 동내동 지석묘, 영남문화재연구원, 한국문화재보호재단에서 발굴 조사
소재지 대구 동내동 지석묘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423-1 지도보기
소재지 대구 동내동 지석묘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191 지도보기
소재지 대구 동내동 지석묘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388-1 지도보기
소재지 대구 동내동 지석묘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산 62 지도보기
모형 전시처 대구 동내동 지석묘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1112-2 지도보기
성격 고분
양식 고인돌|돌널무덤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일대에 분포하는 청동기시대 고인돌을 포함한 분묘군.

[위치]

대구 동내동 지석묘 4기는 모두 대구혁신도시 내 동호유적공원[선사유적공원]으로 이전되어 본래 모습을 벗어난 상태이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대구광역시 도시철도건설본부가 시행하는 대구선철도[동대구-청천간] 이설사업 구간에 대구 동내동 고인돌①이 포함되어 1999년 10월~2000년 5월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청동기시대 고인돌 1기가 조사되었다. 그리고 같은 시기 돌널무덤 4기와 주거지 3동이 확인되면서 이 일대에 청동기시대 취락이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동내동 고인돌③은 대구혁신도시 개발사업부지에 포함되어 2008년 7월~2010년 5월까지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1차 발굴조사 시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일대에서 고인돌 1기[B-5 구역 1호 고인돌]와 돌널무덤 8기가 확인되었지만 출토유물은 없다. 동내동 고인돌②[B 구역 1호 상석]와 동내동 고인돌④[B 구역 1호 고인돌] 역시 대구혁신도시 개발사업부지에 포함되어 2009년 4월~2010년 10월 한국문화재보호재단의 1차 발굴조사시 조사되었다. 이 두 고인돌은 100m 정도 떨어져 있지만 상호 연결 선상으로 돌널무덤 19기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동일한 무덤군을 이루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인돌군의 북편으로 57기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확인되었다.

[형태]

대구 동내동 지석묘 상석들은 대부분 직사각형 또는 부정형이며 부분적으로 깨어져 나간 것도 있다. 하부구조는 흐트러져 버린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깬 돌을 평평하게 쌓아 석관의 형태를 짠 구조이다. 별도로 석관 상부에 뚜껑돌을 덮은 후 상석을 올린 경우도 있다. 주변의 하부구조는 깬 돌을 눕혀 쌓은 것이 다수를 차지하며, 판석을 세워 짠 구조도 일부 확인된다.

[출토 유물]

대구 동내동 지석묘는 모두 발굴 조사되었다. 동내동 고인돌④에서만 돌로 만든 가락바퀴 2점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주변 하부구조인 돌널무덤들에서는 붉은간토기, 이단병식석검(二段柄式石劍)[자루를 두 계단으로 만든 돌칼], 돌로 만든 화살촉 등이 출토되어 돌널무덤 조성 당시 부장 양상을 잘 알 수 있다. 그외 청동기시대 주거지에서는 붉은간토기, 민무늬토기, 돌칼, 돌도끼, 부리형석기, 그물추 등이 출토된 바 있다.

[현황]

대구 동내동 지석묘 4기가 있었던 일대에 최근 대구혁신도시가 들어서 개발이 이루어지며 발굴조사가 진행되었다. 고인돌의 상석은 모두 대구혁신도시 내 동호유적공원[선사유적공원]으로 이전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대구혁신도시 일대에서는 청동기시대 취락을 이루는 60여 기 주거지와 다수 생활 유구가 대구 동내동 지석묘와 함께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이 유적들은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 일원의 청동기시대 취락과 분묘의 배치 관계 및 대구지역 청동기시대 취락 연구에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