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0435 |
---|---|
한자 | 大邱槐田洞古墳群 |
영어공식명칭 | Ancient Tombs in Sinryong-dong, Daegu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고분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괴전동 157 |
시대 | 고대/삼국 시대 |
집필자 | 배성혁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2년 - 대구 괴전동 고분군 영남대학교박물관에서 발굴 조사 |
---|---|
소재지 | 대구 괴전동 고분군 - 대구광역시 동구 괴전동 157 |
성격 | 고분군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괴전동에 있는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고분군.
[개설]
대구 괴전동 고분군은 북쪽에 있는 대구 동내동 고분군과 동일 능선으로 이어지는 고분군이다. 대구 괴전동 고분군은 기존에 알려진 대구 괴전동 고분군①과 대구 괴전동 고분군②, 괴전동 유적을 모두 포함한 범위이다. 금호강 유역의 넓은 충적지를 배경으로 거주하던 대구광역시 동구 괴전동,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동 등을 포함하는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반야월 일대 주민들의 집단무덤으로 추정된다.
[위치]
대구 괴전동 고분군은 대구도시철도1호선과 경부고속도로가 교차하는 지점을 중심으로 서쪽에 있다. 북쪽의 팔공산 지맥인 서무예산의 능선 줄기가 금호강 가까이 길게 뻗어 내려오는데, 이 줄기의 말단부에 대구 괴전동 고분군이 분포한다. 주변으로는 금호강변에 형성된 넓은 충적평야인 반야월들이 펼쳐져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기존에 알려진 대구 괴전동 고분군①과 대구 괴전동 고분군②에 대한 발굴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다만 영남대학교박물관이 1997년 대구선 동대구-청천 간 이설구간에 대한 조사시 대구 괴전동 고분군②에서 덧널을 확인한 바 있다. 한편 대구 괴전동 고분군①의 북편으로 접한 괴전동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를 통해 대구 괴전동 고분군의 대체적인 모습이 알려진 바 있다. 괴전동 유적은 경부고속도로 확장 공사와 관련하여 영남대학교박물관에서 2002년 9월 30일부터 2002년 11월 28일까지 발굴 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1기, 원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덧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 돌덧널무덤, 돌방무덤, 독무덤, 널무덤 등 분묘 61기가 조사된 바 있다.
[형태]
대구 괴전동 고분군①에서는 뚜껑돌이 노출된 2기의 고분이 확인되었다. 대구 괴전동 고분군②에서는 최하단석만 남은 석곽이 확인된 바 있다. 다만 대구 괴전동 고분군①의 북쪽에 접한 대구 괴전동 유적의 발굴 조사 성과를 통해 대구 괴전동 고분군 일대에 조성된 유구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원삼국시대 분묘는 덧널무덤과 독무덤이 확인되었는데, 덧널무덤은 평면이 대부분 직사각형이고 장축은 등고선과 나란하며 청석암반을 굴착하여 무덤 구덩이[묘광]를 만들고 내부에 덧널을 설치한 형태이다. 독무덤은 대호 1점을 이용한 단일 독무덤과 질그릇[파수부호]와 목짧은항아리[단경호]를 결합한 합구식 독무덤가 확인된다. 삼국시대 분묘로는 [암광]덧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 돌덧널무덤, 돌방무덤이 조사되었다. 대체로 장축이 등고선과 나란하게 축조되었으며, 청석암반을 굴착하여 묘광을 만든 후 덧널[목곽] 또는 돌덧널[석곽]을 축조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돌무지덧널무덤은 주곽과 부곽을 동일 묘광에 갖추었는데, 주곽이 깊고 크며, 부곽은 작고 얕아 단을 이룬다. 그 외 돌덧널무덤와 돌방무덤은 단독분으로 냇돌을 이용하여 장방형으로 축조하였다.
[출토 유물]
대구 괴전동 고분군에서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 박편, 원삼국~삼국시대의 노형토기, 컵형토기, 유개대부광구호, 대부호, 굽다리접시[고배], 개, 목긴항아리[장경], 목짧은항아리[단경호], 귀 달린 목 짧은 항아리[양이부호], 완, 발, 옹, 쇠도끼, 쇠칼, 쇠로 만든 화살촉, 철모[철제 창, 투겁창], 쇠끌, 쇠로 만든 작은 칼[도자], 귀걸이[이식], 수정, 곡옥 등이 출토되었다.
[현황]
대구 괴전동 고분군①과 대구 괴전동 고분군②는 주변이 도시화되고 경작지로 개간되면서 대부분 훼손된 상태이다. 일부 남아있는 산지와 개간된 밭 및 민묘군이 조성된 부분을 중심으로 유존하고 있는데, 몇 기 정도만 뚜껑돌이 확인되고 대부분 지하에 하부구조만 남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행스러운 점은 괴전동 유적의 발굴 성과를 통해 분묘들이 청석암반을 굴착한 후 조성되어 있음이 밝혀져 하부구조는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
[의의와 평가]
대구 괴전동 고분군은 2~7세기 긴 시간을 두고 조성되었다. 대구 괴전동 고분군은 북쪽의 대구 동내동 고분군과 연결되어 반야월 일대의 중심 고분군이면서 다양한 묘제를 보이고 있어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묘제의 변천상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