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0249 |
---|---|
한자 | 新武洞 |
영어공식명칭 | Sinmu-dong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조현미 |
개설 시기/일시 | 1914년 -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국곡동·신기동·무산동을 병합하여 신무동이라 하고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에 편입 |
---|---|
변천 시기/일시 | 1958년 1월 일 - 경상북도 대구시에 편입 |
변천 시기/일시 | 1963년 1월 1일 -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환원 |
변천 시기/일시 | 1981년 7월 1일 - 대구직할시 동구에 속하게 됨 |
신무동 -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 |
성격 | 법정동 |
가구수 | 총 143가구 |
인구[남/여] | 229명 |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는 법정동.
[명칭 유래]
신무동(新武洞)의 지명은 신기동과 무산동에서 1자씩 따서 지은 것이다.
[형성 및 변천]
신무동(新武洞)은 원래 대구부 해북촌면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을 통폐합하면서 국곡동·신기동·무산동을 병합하여 신무동이라 하고 경상북도 달성군 공산면에 편입되었다. 1958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환원되었다.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동구에 속하게 되었다. 신무동의 행정동은 공산동이다.
[자연환경]
신무동은 팔공산 비로봉[1,192.3m]에서 뻗어나온 칼날능선과 파계봉이 북쪽경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산지지형이다. 신무동에서는 2갈래의 용수천 지류가 합류하며 이에 의해 형성된 협곡은 주변산지보다 경사가 완만한 산기슭을 형성한다. 자연마을인 무산을 지나 남동쪽으로 흐르는 용수천의 지류를 따라 취락이 분포하며 대부분의 산기슭은 농경지로 이용된다.
[현황]
신무동은 북쪽의 경상북도 군위군과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신용동, 남쪽으로는 동구 내동, 동쪽으로는 동구 용수동과 이웃하고 있다. 팔공산 동화시설지구와 이어지는 팔공산로가 지나가며 문화여가시설로는 팔공산학생야영장, 대구교육팔공산수련원, 부인사 등이 있다.
2017년 12월 31일 현재, 신무동에는 총 143가구에 229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