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나물하러 갈 때 부르던 노래. 「나물노래」는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나물노래」 중에는 나물 자체가 소재가 되거나, 나물을 뜯으러 가거나, 나물을 뜯다가 사랑에 빠진 내용 등 다양한 유형이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의 「나물노래」는 나물하러 갈 때 부르던 노래이다. 「나물가세 나물가세」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불리던 논매기 소리. 「논매기소리」는 시작하는 소리, 중간 소리, 마무리 소리의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호야소리」는 논매기 중간에 부르는 소리이다. 뒷소리에 ‘에이요 호야’가 반복되기 때문에 「호야소리」라 한다. 「호야소리」는 2009년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에서 발행한 『송문창과 공산농요』 70쪽에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호야소리...
-
조선 후기 학자 최효술이 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에 있는 농연구곡에 대해 적은 한시. 최효술(崔孝述)[1786~1870]의 본관은 월성(月城)이다. 자는 치선(穉善), 호는 지헌(止軒)이다. 외할아버지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성리학과 예학에 조예가 깊었으며, 유치명(柳致明)을 비롯하여 이병하(李秉夏)·이돈우(李敦禹)·이휘령·이원조(李源祚)·손양술(孫亮述) 등 영남지역 석학들과...
-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발급된 대구광역시 동구를 지나가던 대구선 통일호 승차권. 「대구선 통일호 열차표」는 1997년부터 2004년까지 대구역에서 하양역 구간, 동대구역에서 하양역 구간, 경주역에서 금호역 구간을 이용하기 위해 발급되었다. 「대구선 통일호 열차표」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대구선 통일호 열차표」는 각기 다른 시기 발급된 7장의 승차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소리. 「절래소리」는 대구시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공산농요」 중 하나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노래이다. 「절래소리」는 「전래소리」 혹은 「전례소리」라고도 한다. 「절래소리」는 2009년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에서 발행한 『송문창과 공산농요』 71쪽에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절래소리」는 선후창 형식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불리는 서사민요. 「홍글레가(메뚜기가)」는 「메뚜기가」, 「여치타령」 등으로 불린다. 자식이 없는 여인이 메뚜기나 여치를 자식으로 여겨 집안사람들과 연관지어 부르는 노래이다. 「홍글레가(메뚜기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으로 기재되어...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던 노래. 「모심는소리」는 못자리에서 뽑아온 모를 논에 심으며 부르는 소리이다. 대구지역에서 불리는 「모심는소리」는 교환창으로 불리는게 특징이다. 「모심는소리」[평광동]는 1987년 대구직할시에서 간행한 『민속예술』 195-196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다. 조사일은 1987년 5월 5일-5월 8일이며 가창자는 송문창[남, 56세]이...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서 논에 모를 심을 때 부르던 노래. 「모심는소리」는 못자리에서 뽑아온 모를 논에 심으며 부르는 소리이다. 대구지역에서 불리는 「모심는소리」는 교환창으로 불리는게 특징이다. 「모심는소리」[평광동]는 1987년 대구직할시에서 간행한 『민속예술』 195-196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다. 조사일은 1987년 5월 5일-5월 8일이며 가창자는 송문창[남, 56세]이...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보리타작할 때 도리깨질을 하며 부르는 소리. 「옹헤야소리」는 「보리타작소리」라고 부른다. 보리타작소리는 농사일의 주요한 대목에 노래하므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보리타작은 빠르게 힘차게 진행되므로 노래 또한 빠르고 흥겹게 부른다. 사설은 보리타작하는 행위를 묘사하거나 일꾼들을 격려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보리타작소리 중에서도 ‘옹...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서 논매기를 할 때 첫번째 부르는 소리.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전국적으로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애벌논매기, 두벌논매기, 세벌논매기 등 순서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그 중에서도 첫번째 논매기는 소리를 길게 하여 불규칙박으로 부르며 논매기 중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오이사아소리(논매기소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논매기 할 때 부르던 노래. 「논매기소리」는 애벌논매기, 두벌논매기, 세벌논매기 등 순서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이 있다. 논매기소리 유형 중에서도 「긴소리」는 애벌논매기에 부르는 소리이다. 「긴소리」는 2009년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에서 발행한 『송문창과 공산농요』 69-70쪽에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긴소리」는 선후창 형식이다. 대구광역시 달서구...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아이를 재우거나 달랠 때 부르던 노래. 「아기재우는노래」는 일반적으로 자장가로 통칭되며, ‘자장자장’하는 동일어구가 반복된다. 전통사회에서 아이를 재울 때 부르던 노래이다. 「아기재우는노래」는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7-13 대구직할시 편 810-811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0일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불리는 서사민요. 「홍글레가(메뚜기가)」는 「메뚜기가」, 「여치타령」 등으로 불린다. 자식이 없는 여인이 메뚜기나 여치를 자식으로 여겨 집안사람들과 연관지어 부르는 노래이다. 「홍글레가(메뚜기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으로 기재되어...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소리. 「절래소리」는 대구시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공산농요」 중 하나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노래이다. 「절래소리」는 「전래소리」 혹은 「전례소리」라고도 한다. 「절래소리」는 2009년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에서 발행한 『송문창과 공산농요』 71쪽에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절래소리」는 선후창 형식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공산동에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소리. 「절래소리」는 대구시 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된 「공산농요」 중 하나로 세벌논매기가 끝날 무렵에 부르는 노래이다. 「절래소리」는 「전래소리」 혹은 「전례소리」라고도 한다. 「절래소리」는 2009년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에서 발행한 『송문창과 공산농요』 71쪽에 가사가 수록되어 있다. 「절래소리」는 선후창 형식이다...
-
대구광역시 동구 방촌동에서 불리는 서사민요. 「홍글레가(메뚜기가)」는 「메뚜기가」, 「여치타령」 등으로 불린다. 자식이 없는 여인이 메뚜기나 여치를 자식으로 여겨 집안사람들과 연관지어 부르는 노래이다. 「홍글레가(메뚜기가)」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정확하지 않으나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으로 기재되어...
-
1946년 10월 미군정의 양곡 배급 정책의 실패에 맞서기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시작된 사건이 대구광역시 동구를 비롯해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경기도, 황해도 등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사건. 10월항쟁은 1946년 조선공산당의 신전술[이른바 8월 테제]에 따른 9월 총파업이 전개되는 가운데 1946년 10월 1일 대구시[지금 대구광역시]에서 촉발되었다. 대구의 항쟁은 빠르...
-
1946년 10월 미군정의 양곡 배급 정책의 실패에 맞서기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시작된 사건이 대구광역시 동구를 비롯해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전라도, 경기도, 황해도 등 전국적으로 퍼져나간 사건. 10월항쟁은 1946년 조선공산당의 신전술[이른바 8월 테제]에 따른 9월 총파업이 전개되는 가운데 1946년 10월 1일 대구시[지금 대구광역시]에서 촉발되었다. 대구의 항쟁은 빠르...
-
일제강점기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 해안면에 설치할 수리조합 설립 반대 운동. 수리조합은 1906년 제정된 「수리조합 조례」에 따라 관개배수시설의 신설, 보수, 관리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수리조합의 설치는 1920년대 일제의 농업정책인 산미증식계획의 원활한 성공을 위해 추진되었다. 일제는 자금보조 등 각종 지원으로 대지주의 수리조합 설치를 후원하였다. 대지주를 위주로 한 일제의 수리...
-
일제강점기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 해안면에 설치할 수리조합 설립 반대 운동. 수리조합은 1906년 제정된 「수리조합 조례」에 따라 관개배수시설의 신설, 보수, 관리를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수리조합의 설치는 1920년대 일제의 농업정책인 산미증식계획의 원활한 성공을 위해 추진되었다. 일제는 자금보조 등 각종 지원으로 대지주의 수리조합 설치를 후원하였다. 대지주를 위주로 한 일제의 수리...
-
1934년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에서 발생한 공동묘지 선정 반대운동. 동구 둔산동 주민들이 급수의 위생문제, 동촌유원지의 풍치문제, 교육문제, 교통문제 등을 근거로 공동묘지 선정에 대해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일제강점기 대구부[지금 대구광역시]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자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로 묘지 부족 현상이 심화되었다. 전통적으로 매장 풍습이 강한 우리 장례 문화를 고려할 때...
-
1919년 3월부터 4월까지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전민족적 항일운동으로 일어난 만세독립운동. 1910년 8월 29일 조선을 강제 병합한 뒤 일제는 충량한 신민의 양성을 목표로 민족동화정책을 기조로 한 식민지배정책을 폭압적으로 실행하였다. 일제는 조선총독부를 설치하기 이전부터 헌병경찰제도를 도입하여 무단통치를 시행하였다. 경제적으로는 토지조사사업은 농민의 토지 소유를 폭압적으로 소멸시...
-
대구광역시 동구 동내동에 위치한 3D융합산업 활동 지원 기관. 3D융합기술지원센터는 3차원 입체화 기술을 의료, 로봇, 모바일, 콘텐츠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하여 제품과 서비스를 창조하는 융합형 신산업분야를 지원한다. 3D융합기술지원센터는 3D융합제품 개발을 지원하기 위한 장비 및 시설을 구비하고, 관련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기업의 제품화 과정을 지원한다. 또한 글로벌 경...
-
1960년 4월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서 이승만정권에 저항한 민주화운동에서 통일운동으로 확대된 변혁운동. 대구광역시 동구의 4.19혁명은 직접적으로 운동과 혁명을 촉발시켰다기 보다 허정과도내각과 장면정권 수립 이후에 사회개혁을 지향하는 민주운동과 민족모순을 해결하려는 통일운동에 참여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4.19혁명은 이승만정권의 영구 집권을 꾀하면서 부정선거를 저지른 것에 대한...
-
1948년 5월 10일 대구광역시 동구에서 시행된 제헌국회의원를 선출하는 선거. 5.10총선거는 1947년 11월 14일 유엔에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구비례에 따른 남북한총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물론, 해방 후 한반도에 독립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최고의 권위를 가진 절차는 1945년 12월에 열린 모스크바삼상회의의 결정에 따른 미소공동위원회였다. 그러...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케이블방송사. CMB대구방송은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민에게 방송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CMB대구방송은 CMB케이블TV라고도 한다. CMB대구방송은 1964년 중앙음악유선으로 설립되었다. 2009년 3월 디지털방송을 상용화 했다. 2009년 10월에는 제1회 시청자 참여방송대상을 수상하였고, 2009년 12월에는 국가보훈처장 감...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있는 케이블방송사. CMB대구방송은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민에게 방송 및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해 설립되었다. CMB대구방송은 CMB케이블TV라고도 한다. CMB대구방송은 1964년 중앙음악유선으로 설립되었다. 2009년 3월 디지털방송을 상용화 했다. 2009년 10월에는 제1회 시청자 참여방송대상을 수상하였고, 2009년 12월에는 국가보훈처장 감...
-
대구광역시 동구 신천동에 있는 디자인 산업 육성 및 발전을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 대구경북디자인센터는 DGDC대구경북디자인센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대구경북디자인센터는 디자인 산업 육성 및 발전을 위해 출연, 설립한 기관이다. 대구경북디자인센터는 지역 경제 활성화, 선진 디자인 인프라 구축, 인력 양성 등을 경영 목표로 삼고 있다. 대구경북디자인센터는 2003년 지역디자인센터 사업계...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이시아폴리스에 위치한 복합문화공간. 섬유산업은 대구광역시의 주력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대구광역시에는 이를 지원하는 시설이 부족하여 관련 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다. 이에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이시아폴리스의 개발과 더불어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가 준공되었다. 대구텍스타일콤플렉스는 대구광역시와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가 글로벌 마케팅 지원 등을 위해 5년간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