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443
영어공식명칭 Wondang House of Royal-Family of Joseon and Pagyesa Temple
분야 종교/불교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기획)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 7]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병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파계사 -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741[중대동 7]지도보기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에 있는 영조 원당이 설립되면서 왕실의 원찰이 된 파계사.

[개설]

숙종이 현응대사에게 왕자 탄신 기도를 부탁하여 숙빈 최씨가 영조를 낳자 파계사에 선대왕의 어필과 위패를 봉안하는 원당을 설립하고 왕실 원찰로 정하였다. 영조의 친필 현판이 현재 성전암 법당에 걸려있고, 영조 어의 또한 파계사에 보관되어 있다. 조선시대 왕실 원당의 설립은 왕실과 사찰간의 필요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파계사도 원당이 설립됨으로 인하여 지방 토호의 침학이나 승역의 부담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다. 파계사의 왕실 원당을 통해서 조선시대 억불정책 아래서도 사찰이 존립할 수 있는 배경과 원당의 기능 등을 이해할 수 있다.

[팔공산과 불교]

팔공산은 대구광역시 북부를 둘러싼 대구의 진산(鎭山)으로 중악(中岳)·부악(父岳)·공산(公山)·동수산(桐藪山)으로 불리기도 했다. 태백산맥에서 남서방향으로 갈라져 나온 지맥이 방가산[756m]·화산[828m]·팔공산[1,193m]·도덕산[660m]으로 이어져 팔공산맥을 이루었다. 산 정상부를 중심으로 양쪽에 동봉서봉이 있으며, 그 줄기가 칠곡군·군위군·영천시·경산시·구미시에까지 뻗어 있다. 팔공산은 계곡이 아름답고 산봉이 웅자하며, 부근에 사적이 많아 1980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팔공산에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의 본사인 동화사(桐華寺),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銀海寺)를 비롯하여 송림사(松林寺)·파계사(把溪寺)등 전통 사찰이 많다. 동화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고찰로 임진왜란 때는 유정(惟政)이 승군을 지휘하였던 곳이다. 동화사 마애여래좌상[보물 제243호]을 비롯한 많은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또 조선시대 인종의 태실 수호 사찰이었던 은해사에는 국보 제14호인 거조암(居祖庵) 영산전(靈山殿)을 비롯하여 2점의 보물이 있다. 동화사의 말사(末寺)인 송림사에는 보물 제189호인 오층전탑(五層塼塔)이 있다. 이 밖에 고려대장경 판본을 소장하였던 부인사(夫人寺)와 조선시대 왕실의 원찰이었던 파계사를 비롯하여 비로암(毘盧庵)·부도암(浮屠庵)·양진암(養眞庵)·염불암(念佛庵)·거조암·백흥암(白興庵)·운부암(雲浮庵)·묘봉암(妙峰庵) 등의 암자가 곳곳에 분포한다. 현재 팔공산 지역 가운데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는 지역의 사찰 수는 공산동 소재 사찰만 60여 개 이상으로 파악된다.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팔공산 지역에도 많은 사찰이 건립되었다.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조선시대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다. 이 기록에 의하면 당시 팔공산에는 동화사·파계사·부인사·자화사(慈華寺)·보리사(菩提寺)·미리사(美理寺)·은해사[은해성]·거조사(居祖寺)·원명사(圓明寺)·안흥사(安興寺)·상원사(上元寺)·부귀사(富貴寺) 등 12사(寺)가 존재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후 일부 사찰이 폐사되거나 새로 건립되기도 하였지만, 18세기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동화사·파계사·부인사·보리사·은해사·거조사·안흥암(安興庵)·부귀사·운부사(雲浮寺)·백흥사(栢興寺)·불굴사(佛堀寺) 등 11사, 1832년의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에 동화사·파계사·은해사·거조사·안흥암·부귀사·운부사·백흥사·불굴사·수도사(修道寺)·환성사(環城寺) 등 11사, 동화사 속암(屬庵)인 내원암(內院庵)·염불암·양진암·삼성암(三聖庵)·부도암·금당암(金堂庵)·부인암(夫人庵)·하선암(下仙庵)·북지장암(北地藏庵)·청련암(靑蓮庵)·도명암(道明庵) 등 11사 및 파계사 속암인 금당암·칠성암(七星庵) 등 2사를 포함 모두 24개의 사암(寺庵)이 존재하였다. 1871년 『영남읍지(嶺南邑誌)』에는 『경상도읍지』와 사암의 명칭이나 수가 동일한 24개의 사암이 존재하였다. 1937년 『교남지(嶠南誌)』에 이르면 영천 지역 팔공산에 20여 개의 사찰이 존재하였다. 동구 쪽 팔공산에는 동화사파계사를 비롯하여 동화사 속암인 내원암·염불암·양진암·미타암(彌陀庵)·부도암·금당암·극락암(極樂庵), 파계사 속암인 미타암과 성전암(聖殿庵) 등 11개의 사암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팔공산 지역에는 30여 개의 사암이 존재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억불정책 아래서도 조선후기 팔공산에 많은 사암이 창건되고 있음은 왕실 원당의 설립과 무관하지 않다.

[파계사 원당의 설립 배경]

원찰은 창건주(創建主)가 자신의 소원을 빌거나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특별히 건립한 사찰로 위패(位牌)나 진영(眞影) 등을 모신 건물을 중심으로 할 때에는 원당(願堂)이라고도 한다. 즉 원당이 설립된 사찰을 원찰이라고 하는데, 원당은 발원자나 위패·진영의 당사자를 축원하는 독립된 공간을 말한다. 조선후기 정조 즉위 이전에는 왕실에서 원당을 설치할 원찰을 새로 창건할 수 있었지만 이후에는 사찰의 창건 즉 신창(新創)이 금지되었다. 다만 폐사된 사찰을 중건하는 경우는 예외로 인정하였다. 그래서 정조 이후에는 폐사된 사찰을 중건 형태로 새로 원찰을 건립하거나 기존의 사찰에 왕실을 위한 독립 공간인 원당을 설립하였다. 파계사의 경우는 후자로서 기존의 사찰에 새롭게 원당을 설치하였다.

조선시대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 아래서 왕실과 멀리 떨어진 변방인 팔공산에 원당이 설립된 배경은 왕실과 사찰 간의 상호 필요에 의해서 설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 억불 정책으로 궁궐이나 도성 안에 있던 사찰이 도성 밖이나 산으로 옮겨 가기는 하였으나, 불교 전래 이래로 해오던 기복(祈福) 신앙을 중단하기도 어려웠다. 따라서 지아비는 조정에서 배불(排佛)을 공론화하고 지어미는 산사(山寺)에서 백일치성을 하는 것이 지배층의 현실적인 신앙 형태이다.

조선시대 불교가 억불 정책에도 불구하고 존재하고 유지되어 올 수 있었던 가장 근본적인 사실은 인간 삶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생(生)·노(老)·병(病)·사(死)에 대한 신앙적 대안이 없었다. 고려시대에 사회적 신앙이었던 불교가 조선시대에 와서 지배 이념이 교체되었다고 하여 현실적 고행의 극복과 내세적 갈망에 대한 욕구나 관습까지 바꿀 수는 없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여성들에게 아들은 모든 존재의 근원이었다. 특히 왕실 내전(內殿)의 경우는 종묘사직을 이끌어갈 후사를 잇는 막중한 임무를 지고 있기 때문에 생남불공(生男佛供)에 관한 욕구가 클 수밖에 없다. 후사 문제는 내전뿐만 아니라 왕실 전체의 고민이다. 따라서 왕실의 안녕과 무병장수 및 왕위계승을 위한 아들을 얻기 위해서 불교적 의례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왕실과 파계사의 인연은 숙종과 영원선사(靈源禪師)의 자연스런 만남에서 시작되었다. 1693년(숙종 19) 세 명의 왕비로부터 후손[왕자]을 얻지 못한 숙종은 예스럽고 소박하게 생긴 승려가 대궐로 들어오더니 이내 보이지 않는 꿈을 꾸었다. 사흘 뒤에는 상서로운 빛이 궐내를 비추자 사람을 시켜 빛이 솟아나는 곳을 찾아보도록 하였다. 남대문에 이르니 파계사영원선사가 마침 관서 지방을 두루 거쳐 한양의 여각에 묵고 있었다. 숙종이 기뻐하면서 불러 수락산으로 보내어 왕자의 점지를 바라는 백일기도를 드리도록 하였다. 그리고 1670년 원자 즉 영조가 태어났다. 숙종은 그 보답으로 ‘현응(玄應)’이라는 호를 내리고, 파계사 주변 16㎞[40리] 이내의 조세를 받아 사용하라고 하였다. 그렇지만 영원선사는 거절하고 선대의 위패(位牌)를 모시기를 청하였다. 따라서 파계사는 1696년(숙종 22)에 덕종, 선조, 숙종, 영조의 위패와 숙종, 영조, 정조의 어필(御筆)을 봉안하는 왕실의 원당이 설립되었다. 바로 파계사기영각(祈永閣)이 위패나 어필을 봉안하는 당우(堂宇) 즉 원당이다. 이는 지방 유림(儒林)의 행패나 과도한 승역(僧役)으로부터 사찰을 수호하기 위한 자구책이었다.

1979년 원통전(圓通殿)의 목조관음보살좌상(木造觀音菩薩座像) 복장유물에서 영조의 어의(御衣)와 발원문이 발견되면서 승려 영원과 관련된 내용들이 상당 부분 역사적 사실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되기 시작하였다. 이 발원문은 1740년(영조 16) 9월에 작성되었다. 여기에는 “대법당의 불상과 나한을 중수했으며, 영조대왕은 탱화 일천불을 희사하고 불공원당지처(佛供願堂之處)로 삼았다. 임금의 청사(靑紗) 상의[도포(道袍)]로 만세유전을 빌면서 복장한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또한 영조가 11세 때 ‘자응전(慈應殿)’이라는 편액을 써 주었다고 하는 사실로 보아 파계사영조의 원당이라고 할 수 있다. 이후 왕실의 후원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여러 차례 완문(完文)을 내려 사역(寺役)의 편의를 보장하거나, ‘천향각(天香閣)’이라는 정조의 어필 편액이 하사되기도 했다. 순조 때는 왕실의 지원으로 미타암을 중창하였다. 순조 비인 순원왕후와 철종 비 철인왕후의 내탕금(內帑金)으로 사찰을 중창하거나 백화루(白花樓)를 중수하였다. 이와 같이 파계사의 원당은 왕실의 왕자 탄신과 사찰의 자구책이라는 이해관계가 일치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왕실과 파계사]

파계사 원당 설립은 표면적으로는 왕실이 적극적인 듯하나, 실제로 파계사는 사찰의 존폐 문제가 달려 있어 내면적으로는 더 적극적이었다. 억불 정책으로 사찰의 존립 자체가 어려운데 각종 승역이나 지방관 및 유림들의 침탈까지 더하여 사세가 퇴락하여 유지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승역 가운데 가장 고역이 의승군(義僧軍)과 의승방번전(義僧防番錢)이다.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의 호국적 애국심을 확인한 정부로서는 승려들을 활용한 국방 계획의 일환으로 실시하였다. 각 지방 사찰에서 승려를 징발하는 의승군과 산성에 상주하는 승군의 경비를 부담하는 의승방번전이 있었다. 대부분 사세가 빈약한 사찰로서는 큰 부담이 되었다. 승군으로서 승려들은 각종 역사에 무상으로 강제 동원되어 노동력 제공을 요구받았다. 남한산성과 북한산성의 축조는 물론 수비군으로 번상(番上)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각 사찰에서 승군과 승역의 부담으로 사세가 쇠잔하여 번상에 문제가 생기자, 영조 연간에는 승군과 승역으로의 차출 대신에 비용을 부담하는 의승방번전을 징수하였다. 당시 경상도에서 남북한산성에 배당된 의승방번전은 번상군 1명당 22냥이고, 번상군의 수는 249명으로 총 5,478냥이다. 당시 경상도의 사찰 수는 『가람고(伽藍考)』에 308개 사찰이 존재하였으므로 한 사찰당 평균 18냥 정도를 매년 납부를 해야 된다. 대찰이 많지 않은 경상도의 사찰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번전(番錢)이 번역(番役)으로 바뀌었다고 승역의 고통이 해소된 것은 아니다. 번전의 징수 방법이 가혹하여 사세가 허약한 사찰은 폐사되기도 하였다.

승역 가운데 또 하나의 고역은 지역(紙役)이다. 조선 전기 정부 주관으로 관리되던 종이 생산이 임진왜란으로 체계가 붕괴되자 사찰이 그 역할을 대신하게 되면서 또 하나의 고역이 되었다. 조선시대 종이의 수요는 유교정치와 성리학의 발전으로 더욱 증가하였다. 특히 서원(書院)·향교(鄕校)·서당(書堂)의 발달과 문중(門中)의 족보(族譜)나 문집 간행으로 종이의 수요는 점차 증가하였다. 더구나 이러한 문집과 족보 등이 사찰에서 간행됨은 물론 판각(板刻)의 보관까지도 사찰이 담당하였다. 그러므로 승려 가운데는 제지승(製紙僧)과 각수승(刻手僧) 같은 전문 기술자가 많아 국가적인 출판 사업이나 유교 경전 및 불경 간행에 큰 몫을 담당하였다. 지금도 간혹 사찰에 가면 긴 통나무 통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 종이의 원료인 닥나무를 물에 불렸다.

사찰에 잡다한 종류의 역이 부과되는 잡역(雜役) 또한 고역이다. 승려들의 승역은 농사철과 무관하게 수시로 징발할 수 있는 준비된 노동력으로 그 종류도 다양하다. 영조가 생모인 숙빈 최씨를 위해 송광사에 육상궁의 원당을 설립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종류의 잡역이 부과되었다. 송광사가 부담한 잡역의 종류를 보면 각색리(各色吏)의 예급전(例給錢)과 같은 현금징수, 송판, 목재, 짚신, 미투리, 들기름, 기름 먹인 종이, 깨소금, 노끈, 삼껍질, 간장, 된장, 송화가루, 부채, 곰 혓바닥, 백미, 옷감, 누룩, 메주, 장 담그는 콩, 긴 자, 껍질을 벗긴 삼대, 말 먹이 건초, 주홍(朱紅, 비단의 일종), 고통(鼓桶, 북을 넣어두는 통), 익모초, 약쑥 등과 같은 현물징수, 그리고 도배승(塗褙僧), 목수승(木手僧), 각수승(刻手僧), 화공승(畵工僧), 개와장(蓋瓦匠), 번와장(燔瓦匠), 인출승(印出僧), 칙식승(勅食僧), 공궤승(供饋僧), 향반승(香盤僧), 가마꾼[藍輿軍]과 같이 노동력과 전문 기술을 가진 승도들의 육체적 노동을 징발하는 인적수탈 등이 있다. 이러한 관청의 잡역 뿐만 아니라, 소속 향교나 서원 및 토호들의 횡포를 감당해야만 한다. 서원의 춘추제향(春秋祭享) 때 반찬을 만들고 그릇을 씻는 일에 동원되거나, 서원의 유생들이 승방(僧房)에서 공부하면서 유식(遊食)하는 비용을 제공해야 했다. 또한 토호들의 사찰 탐방에도 가마를 메거나 시중을 드는 등의 사역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사찰의 잡역은 종류가 다양하고, 봉납해야 할 관청이 허다할 뿐만 아니라, 상납 물종이나 역사(役事) 또한 헐가나 공짜로 강제 징발되는 등 고역화로 인하여 사찰이 퇴락(頹落)하는 원인이 되었다.

파계사 역시 다양한 승역의 부담으로부터 예외는 아니었다. 파계사영조의 원당이 설립된 이후 여러 차례 내려진 「완문(完文)」이 바로 승역의 감면이나 사찰을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1712년(숙종 38) 「종친부완문(宗親府完文)」은 왕자군[영조]의 원당을 수호하기 위해서 내린 문서이다. 1732년(영조 8) 「어의궁완문(於義宮完文)」은 파계사를 어의궁에 소속시킨다는 6조목을 적고 있으며, 1843년 「예조절목(禮曹節目)」 8조는 어의궁 소속 사찰이며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貞聖王后) 서씨의 원당인 파계사를 수호하고자 다시 작성하고 있다. 파계사에 내려진 완문이나 절목은 지방 관청이나 토호들의 잡역 부과나 횡포로부터 사찰을 수호하기 위한 자구책의 일환이었다. 파계사에 이같이 여러 번 잡역 면제의 완문을 발급한 이유는 완문을 발급한 후 시기가 오래되면 지방 관청에서 다시 잡역을 부과하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왕의 원당사찰은 왕실로부터 각종 잡역을 수차례에 걸쳐 견감 받는 특혜를 누리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특혜야말로 사찰이 존립할 수 있는 경제적 토대가 되었다.

[파계사 원당의 기능과 봉안 유형]

왕실 원당의 설립 목적이 왕실의 안녕과 명복을 기원하고 죽은 영혼을 위무하는 순기능적인 측면이 일반적인 현상이지만, 간혹 경제적 집적의 수단으로 악용하는 역기능적인 측면도 있다. 원당의 기능적 유형으로는 축원원당(祝願願堂), 능침원당(陵寢願堂), 호국원당(護國願堂) 등이 있다. 조선시대 원당의 절반 이상이 축원원당이다. 파계사도 왕세자 탄신을 기원하고 왕실의 안녕과 무병장수를 축원하는 원당이다. 파계사는 세자 탄신 기원을 통해 영조의 원당이 설립되면서 왕실의 위패를 봉안하는 원찰이 되었다. 파계사에서는 위패를 모실 독립된 전각으로 기영각을 건립하고, 죽은 자[위패 당사자]를 위해서는 기일재(忌日齋)나 수륙재(水陸齋)와 같은 불사로 영혼을 위로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였다. 영조를 비롯한 왕실의 무병장수와 안녕을 기원하는 축원을 상시로 하였다. 영조가 대구 달성서씨인 정성왕후와 혼인하면서 파계사가 왕후의 원당이 되었다. 영조의 원당이 대구 달성 파계사에 있어서 달성서씨를 왕후로 정했는지 알 수 없다. 그렇지만 파계사로 인한 두 사람의 만남은 특별한 인연이라 생각된다. 세조의 장자로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추존왕 덕종과 덕흥대원군의 셋째 아들로 왕위에 오른 선조, 파계사를 아들인 영조의 원찰로 만든 숙종, 영조, 이들 네 분의 위패를 봉안한 파계사는 숙종이 직접 지은 축책(祝冊)과 영조가 11세에 쓴 자응전 현판 및 정조가 쓴 천향각이라는 편액 등 어필을 봉안하고 왕실의 안녕을 비는 전형적인 축원원당이다. 이러한 축원은 파계사 주불전의 후불탱화인 보물 제1214호인 「파계사영산회상도(杷溪寺靈山會上圖)」에도 「화기(畵記)」와 별도로 석가모니불의 대좌 중앙에 왕실 축원 문구와 ‘시주대군갑술생이씨(施主大君甲戌生李氏)’, ‘서씨양주보체수천추(徐氏兩主保體壽千秋)’, ‘경술생최씨보체수장명(庚戌生催氏保體壽長命)’이라는 명문이 있다. 시주자로 기입된 대군 갑술생 이씨는 1694년에 탄생한 연잉군(延仍君)영조이며, 경술생 최씨는 영조의 어머니인 숙빈 최씨[1670~1718]이다. 대군에 이어 기입된 서씨는 후에 정성왕후가 되는 영조의 비이다.

능침원당은 왕릉을 수호하는 사찰로 제향 시에 두부를 제조하여 공급하는 조포사(造泡寺)로서의 기능과 인적·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호국원당은 종묘사직과도 같은 조선왕조실록을 수호하는 사찰로 강화도 정족산 전등사(傳燈寺), 무주 적상산 호국사(護國寺), 강릉 오대산 월정사(月精寺), 봉화 태백산 각화사(覺華寺) 등과 인조가 이괄(李适)의 난을 피해 머물렀던 곳이다. 국방상 중요한 요충지라 하여 중영(中營)을 설치하고 승려들로 하여금 수직하게 한 공주산성의 영은사(靈隱寺) 등이다.

원당은 봉안 유형에 따라 위패봉안원당, 어진(御眞)봉안원당, 어필봉안원당, 태실(胎室)봉안원당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파계사는 위패와 어필을 봉안한 원당으로 분류된다. 원당의 실질적인 상징은 위패라고 할 수 있다. 위패 봉안은 원당으로 지정되고 나서 왕실에서 누구로 할지를 정하고 나서 독립된 전각을 건립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위패봉안원당은 유교적 제사 행위와 같은 형식과 의미를 지녔다. 망자의 극락왕생을 부처를 통하여 축원하였다. 기복신앙의 전형적인 유형이다. 어필봉안원당의 어필에는 원찰임을 공인하는 왕의 교지(敎旨)나, 전답과 같은 어물(御物)을 하사 하면서 내리는 친필 서찰, 사찰이나 승려를 격려하는 어제(御製)나 친필 시문(詩文), 승역의 감면이나 혁파를 명하는 어서(御書)나 어인(御印), 어화(御畫)나 병풍의 어서 및 어인, 기타 왕의 필적 등으로 그 자체가 경배의 대상은 아니다. 어필만을 모아두는 어필각(御筆閣)이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의 사찰에서는 위실각(位室閣)이나 어실각(御室閣)의 형태로 위패·어진·어필 등을 함께 봉안하였다.

어진봉안원당은 왕의 초상화를 봉안한 사찰로 태조의 어진을 봉안한 묘향산 보현사(普賢寺)와 강화도 전등사, 선조, 인조, 현종의 어진을 봉안한 금강산 유점사(楡岾寺)가 있다. 태실봉안원당은 왕자나 왕녀가 태어나면 왕자의 무병장수를 위해 명당에 태반을 묻고 이를 수호하는 사찰로 조선시대 7개 사찰에 8개의 태실이 설립되었다. 7개 사찰 가운데 순조의 태실을 수호하는 법주사(法住寺)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모두 경상도 지역이다. 정종의 태실을 수호하는 김천 직지사(直指寺), 세종의 태실을 수호하는 곤양의 서봉사(栖鳳寺), 세조의 태실을 수호하는 성주의 선석사(禪石寺), 문종의 태실을 수호하는 풍기의 명봉사(鳴鳳寺), 인종의 태실을 수호하는 영천 은해사,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와 정조의 아들 문효세자(文孝世子)의 태실을 수호하는 예천 용문사(龍門寺)가 태실봉안원당이다.

[의의]

원당의 설립은 왕실과 사찰 간의 필요와 상호 보완적 차원에서 쌍방 간에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결과이다. 그러나 왕실의 입장에서는 숭유억불의 이념을 고려하여 가능한 비공식적으로 또는 사적인 관계로 이해하려는 입장이나, 사찰에서는 관청이나 토호들의 침탈로부터 사찰을 보호하기 위해서 보다 적극적으로 공론화 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숙종과 파계사 영원선사와의 만남은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라고 생각된다. 사적기에는 숙종이 승려를 만나는 꿈을 꾸고 상서로운 빛을 따라가서 우연히 영원선사를 만났다고 하였다. 구전(口傳)에는 불교 탄압 정책을 왕에게 탄원하기 위해서 올라갔다고 하는 데서도 알 수 있다. 영원선사는 당시 삼각산 내원암에 있던 승려 농산(聾山)과 백일기도를 함께 했다. 숙종의 사주에 자식이 없었으므로 승려 농산이 죽어 환생한 이가 원자, 곧 영조가 되었다는 것이 사중(寺中)의 구전 내용이다. 이러한 원자 탄신의 공로로 파계사영조의 원당이 되었다. 왕실의 기복적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곳은 사찰뿐이며, 사찰의 생존에는 왕실의 비호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사찰의 입장에서는 승역이나 잡역, 관청이나 토호들의 수탈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원당 설립이 최선의 길이기 때문에 왕실보다 더 적극적이었다.

파계사의 연혁을 보면 원당 설립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왕실로부터 사찰 중건이나 어의 및 어필을 하사 받거나 내전으로부터 내탕금을 하사 받기도 하였다. 각종 완문으로 잡역 등을 감면 받기도 하고, 왕실의 시주로 불전의 후불탱화를 조성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왕실의 후원으로 현재의 파계사 건물들은 대부분 이 시기에 조성되었다. 현재 사적비 옆에는 대소인개하마비(大小人皆下馬碑)가 세워져 있어 원찰로서의 위상을 충분히 짐작케 한다. 그러므로 조선시대 모든 사찰에서는 왕실의 원당 설립을 기원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