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262
영어공식명칭 Eosayong (Farmers’ Song)
이칭/별칭 초부가(樵父歌),얼사영,가마구타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정서은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 시기/일시 1995년 5월 27 - 「어사용」 권오경, 김기현 채록
채록지 「어사용」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지도보기
가창권역 「어사용」 -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성격 노동요|가창유희요
토리 메나리토리
출현음 미·솔·라·도·레
기능 구분 노동요
형식 구분 독창
박자 구조 불규칙 박자
가창자/시연자 송문창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에서 부르던 나무꾼 신세타령.

[개설]

「어사용」은 주로 경상도 산간지역을 중심으로 불리던 나무꾼 신세타령이다. 산에 나무하러 가서 일을 하다가 힘들고 두려움을 느끼면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그래서 노동요로 볼 수도 있고, 나무할 때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불렀기 때문에 가창유희요로도 볼 수 있다. 또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이 주가 되어 신세한탄요로도 본다. 다양한 접근이 가능하다. 다른 사람이 들으면 해롭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후후후’하는 입소리를 내어 동물과 귀신을 쫓는다고 한다.

[채록/수집 상황]

「어사용」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왕실도서관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내 한국민요대관에 음원이 수록되어 있다. 채록일은 1995년 5월 27일이고 채록자는 권오경과 김기현이다.

[구성 및 형식]

「어사용」은 깊은 산속에서 혼자 부르는 독창 형식이다.

[내용]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어사용」의 사설은 주로 자신의 신세를 한탄하는 내용이며, 내용이 모두 구슬프고 애절하다.

에이 바람아 강풍아 불지 마라 서풍낙엽에 다 떨어진다

이--호--어 슬프다 우리 낭군님은 점슴 굶고 나무하러 가네--이

이 호-호-호 어떤 사람은 팔자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영화로이 살건마는

이-호-호 내날 적에 너도 나고 너 날 적에 나도 났는데 이 내 팔자는 이--왜이러노

짚신짝도 짝 있는데 이 내 나는 짝이 없노

만첩산중 고목나무는 겉이 썩어야 남이 알지요 니 속 내 속 다 썩는 줄 어느 누구고 알아 주네

이 이-호-호-어 -이여 명사십리 해당화야 오- 꽃진다고 서러마소 오-오 명년 삼월 또 닥친데 오-이 우 -우- 요- 우-이 예

이-호-우-예 이-호- 우여 우여 봉봉이 두견화요 골골마다 행화초래이

나물묵고 물마시고 팔을 비고 누웠으니 대장부야 살림살이는 이만 하면은 넉넉하지 이 예

이-호 우여- 우여- 가다가 죽어지면은 어는 누구가 날 찾으리

[현황]

현재는 나무를 하러 다니지 않기 때문에 「어사용」은 불리지 않는다. 다만 어릴 적 어사용을 들어보았거나 불렀던 이들의 기억 속에 단편으로 남아있고, 각 농요보존회에서도 전승노력을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어사용」은 지역의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고다. 또한 사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