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344
한자 文學
영어공식명칭 Literatur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고려/고려 전기,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현대/현대
집필자 김석배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서 만들어진 문학 전체.

[개설]

문학이란 사상이나 감정을 말이나 글로 표현한 작품을 말한다.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도 일찍부터 신화, 전설, 민담을 비롯하여 민중들이 삶의 현장에서 부르던 다양한 민요, 수수께끼와 속담 등 구비문학이 풍부하게 전승되어 왔다. 고려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는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에서 일어난 공산전투와 관련이 깊은 작품이다. 조선시대에는 서거정을 비롯하여 여러 문인이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의 경관을 노래한 시문을 창작하였다. 특히 임진왜란 때 의병들이 팔공산에 모여 회맹할 때 회맹시를 지어 결의를 다졌으며, 시조문학도 향유하였다. 현대에 들어와서는 다수 문인이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서 활동하거나, 관련된 작품들을 창작하여 문단을 풍성하게 하였다. 이장희는 죽어서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묻혔고, 전상렬은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서 생활하면서 많은 시를 남겼다. 그리고 현재 여러 명의 문인이 대구광역시 동구 지역에 삶의 터전을 두고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민담과 노래]

조리봉과 배안마을[백안]이라는 지명설화, 왕산, 태조지, 살내, 안심, 반야월 등 고려 태조 왕건공산전투와 관련된 전설을 비롯하여 마을과 자연물의 이름이 유래된 지명전설, 효자이야기 등 다양한 민담들이 풍부하게 전해오고 있다. 또한 「모내기 노래」, 「옹헤야」, 「베틀노래」, 「어사용」 등 일할 때 부르는 노동요, 「상여소리」, 「달구질노래」, 「성주풀이」, 「조왕풀이」 등 의식을 치를 때 부르는 의식요, 「쾌지나칭칭나네」와 같이 놀이할 때 부르는 유희요를 통해 사랑과 이별, 삶과 죽음에서 오는 애환을 노래했다. 또한 언어생활을 윤택하게 했던 수수께끼와 속담 등도 전승되고 있다.

[한시]

팔공산은 산세가 우람하지만 한편으로는 아름답기 짝이 없다. 일찍부터 시인 묵객들이 팔공산을 멀리서 바라보거나 오르면서 읊은 시를 남겼다. 서거정「대구십영」 중에서 「북벽향림(北壁香林)」, 「동사심승(桐寺尋僧)」, 「공령적설(公嶺積雪)」은 팔공산의 승경을 읊은 것이다.

「북벽향림(北壁香林)」[북쪽 벽에 향기로운 측백나무들]

고벽창삼옥삭장(古壁蒼杉玉槊長)[오래된 절벽에 푸른 측백나무 옥창처럼 길고]/장풍불단사시향(長風不斷四時香)[긴 바람이 끊임없어 사계절에 향기롭네,]/

은근경착재배력(慇懃更着栽培力)[은근히 가꾸는 데 힘들이면]/류득청분공일향(留得淸芬共一鄕)[맑은 향기를 온 고을이 함께 누리리.]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했던 낙애(洛涯) 정광천(鄭光天)[1553~1594]도 팔공산을 등산하고 「팔공산유람10수(遊八公山 十首)」를 남겼다. 그 한 편이 「숙파계사(宿把溪寺)」이다.

「숙파계사(宿把溪寺)」[파계사에 묵으며]

죽장천운경(竹杖穿雲徑)[대지팡이로 구름 뚫고 길을 오르니]/위봉용벽민(危峰聳碧旻)[가파른 봉우리 푸른 하늘에 솟아있네.]/

인간증입하(人間曾入夏)[인간 세상에는 이미 여름이 되었는데]/산정상유춘(山頂尙留春)[높은 산에는 오히려 봄기운이 남아있네.]/

우헐잔홍습(雨歇殘紅濕)[비 개이자 붉은 꽃엔 물기 촉촉하고]/풍경연녹신(風輕軟綠新)[가벼운 바람 부니 연녹색 잎이 신선하네.]/

송풍경속객(松風驚俗客)[솔바람은 속객을 놀라게 하고]/시복환성인(時復喚醒人)[때때로 사람들을 깨우치네.]

백불암(百弗庵) 최흥원(崔興遠)[1705~1786]도 「산중즉사(山中卽事)」를 지어 팔공산의 풍광을 읊었다.

「산중즉사(山中卽事)」[산중에서 읊다]

팔공산하일암웅(八公山下一庵雄)[팔공산 아래 한 암자 웅장한데]/화각규연상벽궁(畵閣巋然上碧穹)[단청누각 우뚝하게 푸른 하늘로 솟았네.]/

낙엽진퇴봉사척(落葉盡堆峯似瘠)[잎 떨어져 쌓이니 산봉우리는 야윈 듯하고]/현류쟁사학여농(懸流爭瀉壑如聾)[폭포수 다투어 쏟아지니 골짜기는 귀먹은 듯하네.]/

종교물외신맹정(從敎物外新盟定)[세상 밖에서 새로이 맹세하여]/각요진간구염공(却要塵間舊染空)[속세의 묻은 티끌 씻기를 바라네.]/

최시령구무한의(最是靈區無限意)[가장 신령스런 곳의 가없는 뜻은]/수성명학구천통(數聲鳴鶴九天通)[몇 마디 학 울음소리 하늘로 통하네.]

임진왜란 때 대구지역의 유림들이 팔공산에 모여 나라를 구하기 위해 창의(倡義)하며 회맹시를 지어 결의를 다졌다. 이외에도 최인, 최선수, 최동보, 최여호, 손처약, 홍한, 박충윤, 이눌, 김응하, 박대무, 박연정, 김태허, 황경림, 김대성, 이응벽 등도 회맹시를 지어 의기를 드높였다. 해안[대구광역시 동구 해안동 일대] 출신 괴헌(槐軒) 곽재겸(郭再謙)[1547~1615]도 회맹시를 지었다.

세난군우기보신(世難君憂豈保身)[난리에 임금께서 근심하는데 어찌 한 몸 보존하랴]/유감일사도이진(猶甘一死島夷塵)[왜적 물리칠 수 있다면 기꺼이 죽으리라.]/

수장장사의천검(須將壯士倚天劍)[모름지기 장차 장사가 의천검을 힘껏 잡고]/심소용유도파진(沈笑庸儒渡灞津)[용렬한 선비 껄껄 웃으며 파진을 건너네.]/

백행여풍충가상(百行餘風忠可尙)[백행의 끼친 풍습이 충을 숭상하니]/삼한고국명유신(三韓故國命維新)[삼한의 옛 땅에 유신의 천명 있으리라.]/

교남자차다생색(嶠南自此多生色)[영남 땅은 이로부터 많은 생색 날 것이니]/불독고명유후인(不獨高名遺後人)[고명한 이름 후세에 남길 뿐만 아니네.]

대구광역시 동구를 가로지르는 금호강은 경치가 빼어나서 일찍부터 시인 묵객들이 배를 띄워 선유(仙遊)를 즐겼으며, 강가에 정자를 짓고 음풍농월(吟風弄月)하였다. 일찍이 서거정(徐巨正)[1420~1488]은 「대구십영」을 읊었다. 서거정은 「琴湖泛舟(금호범주)」를 제일 먼저 꼽았다.

「금호범주(琴湖泛舟)」[금호강에 뜬 배]

금호청천범란주(琴湖淸淺泛蘭舟)[금호강의 맑고 얕은 물에 조각배 띄우고]/취차한행근백구(取次閑行近白鷗)[한가로이 오가니 백구와 가까워지네.]/

진취월명회도거(盡醉月明回棹去)[달빛에 한껏 취해 노 저어 돌아오니]/풍류불필오호유(風流不必五湖遊)[오호에 노니는 것만이 풍류가 아닐세.]

1561년에 송담(松潭) 채응린(蔡應麟)[1529~1584]이 금호강변에 압로정(狎鷺亭)과 소유정(小有亭)을 짓고 학문과 수신을 하는 한편 벗들과 어울려 음풍농월을 즐겼다. 송담은 정자를 짓고 「소유정」을 지었다.

「소유정(小有亭)」

산변벽수산전수(山邊碧樹山前水)[산기슭엔 푸른 나무 있고 산 아래는 강물 흐르고]/수외청교수상가(水外靑郊水上家)[강 너머엔 푸른 들판이 있고 강 위에는 집이 있네.]/

평수평산무외사(評水評山無外事)[산과 물을 평하니 세상사 관심 밖이니]/생평지원고인과(生平只願故人過)[평생에 원하는 것은 옛 사람 만나는 것이네.]

채응린의 「소유정」을 차운하여 시를 남긴 이들은 석담(石潭) 이윤우(李潤雨), 낙재(樂齋) 서사원(徐思遠), 효아옹(效亞翁) 송원기(宋遠器), 검간(黔澗) 조정(趙靖), 모당(慕堂) 손처눌(孫處訥), 괴헌(槐軒) 곽재겸(郭再謙) 등 수십 명에 이른다. 노계 박인로(朴仁老)[1561~1642]도 한강(寒岡) 정구(鄭逑)[1543~1620]를 종유[학식이나 덕행이 높은 사람을 좇아 함께 지냄]할 때 소유정에 들러 가사 「소유정가」를 지었다.

1956년에 강봉희, 김영대, 이근직, 최준, 허흡, 이근직 등 당시 대구 지역의 명망가 72명이 뜻을 모아 금호강변에 아양루(峨洋樓)를 세우고 아양음사(峨洋吟社)를 결성하여 시회를 여는 등 작품 활동을 하며 즐겼다.

[향가]

1120년 고려 예종이 지은 「도이장가(悼二將歌)」팔공산과 깊은 인연이 있는 작품이다. 예종은 서경에서 연 팔관회에서 신숭겸김락 장군의 넋을 기리는 가상희를 보고 감동을 받고, 개경에 돌아와 한시 「도이장시」와 8구체 향가 형식의 「도이장가」를 지어 두 공신의 위대한 공을 기억하고자 했다.

[시조]

정광천임진왜란 때인 1592년에 지은 시조 「술회(述懷)」[6수]와 「병중술회가(病中述懷歌)」[3수]를 『낙애선생일기』에 남겼다.

「술회」 제1수

어화 셜운지고 태평(太平)은 언졔려니/님굼은 엇지며 노친(老親)을 엇지리/차라리 쟈 닷시 쥭어셔 아무란 쥴 모로리라

「병중술회가」 제3수

하날님아 하날님아 비  아소셔/유일(惟一) 노인(老人) 구제(救濟) 구제(救濟)쇼셔/언졔  노친(老親)을 뫼시고 낙천종노(樂天終老) 오릿고

한편 18세기에 가객 낭옹(浪翁) 한유신(韓維信)[1690~1765]도 시조를 지으며 팔공산이나 금호강변 등지에서 시인 묵객 그리고 가객들과 교유하며 즐겼을 것으로 짐작된다. 『해동가요(박씨본)』의 「영언선」에 한유신의 시조 11수가 수록되어 있다.

한유신 시조 중 제4수

산간(山間) 유한(幽閑) 경(景)을 내 혼자 님재어니/사시가흥(四時佳興)을 토리 뉘 이시리/세상(世上)이 숨지 너기나 화 볼 줄 이시랴

한유신 시조 제10수

칠십(七十)이 고래희(古來稀) 팔십(八十)돌히 거의로다/인세(人世)를 다 치니 학여청전(鶴唳靑田) 벗이로다/송관(松關)의 산과(山果)든 창원(蒼猿)이 못내 즐겨 좃다.

[대표적 문인]

(1) 작고 문인

고월(古月) 이장희(李章熙)[1900~1929, 본명 이양희(李樣熙)]는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1924년 『금성』에 「청천의 유방」, 「실바람 지나간 뒤」 등을 발표하면서 문단에 나왔다. 이장희는 1929년에 요절하였는데,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안장했다고 한다. 대표작으로 「봄은 고양이로소이다」, 「동경(憧憬)」, 「청천의 유방」, 「눈은 나리네」 등이 있고, “섬세한 감각과 시각적 이미지, 그리고 계절의 변화에 따른 시적 소재의 선택”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 시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목인(牧人) 전상렬(全尙烈)[1923~2000]은 경상북도 경산시 출신으로 1955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5월의 목장」이 입선되어 등단하였다. 시집 『피리소리』, 『백의제(白衣祭)』, 『하오 일시』, 『낙동강』, 『불로동』, 『시절단장』, 『아직도 나는』 등이 있으며, 「준령(峻嶺)을 거느리고」와 「망우공원에서」 등 동구 지역과 관련된 시를 남겼다. 대표작으로 「고목과 강물」, 「천고의 샘」, 「꽃밭」 등이 있고, “강한 육성을 지닌 개성적인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2) 현재 활동 중인 문인

현재 동구 지역을 삶의 터전으로 문학 활동을 하고 있는 문인은 다음과 같다.

서종택[1948~]은 경상북도 군위군 출신으로 197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시집 『보물찾기』, 『납작바위』가 있다. 대표작으로 「호루라기」, 「보물찾기」, 「구부러진 산」, 「발가락 얼구며」, 「애가(哀歌)」, 「풀」, 「이슬」 등이 있다. 서종택의 작품은 “기계 문명이 급상승하는 발전의 정점에서 신화적 상상력을 되찾자고 권유하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구락[1951~]은 경상북도 의성군 출신으로 1979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서쪽 마을의 불빛』, 『그 해 가을』, 시선집 『와선』이 있다. 대표작으로 「깊고 푸른 길」, 「서쪽 마을의 불빛」, 「빈 마음 하나」, 「사향곡」, 「그해 가을」, 「돌의 시간」 등이 있다. 이구락의 작품은 “섬세한 서정과 예리한 감각, 탄력 있는 형상력의 견고성이 빚어내는 시적 성취, 물의 상상력과 식물적 이미지가 접합된 상징적 의미 영역의 확대는 이 시인이 갖는 독특한 개성”이라는 평을 듣고 있다.

김선굉[1952~]은 경상북도 영양군 출신으로 1982년 『심상』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아픈 섬을 거느리고』, 『장 주네를 생각함』, 『밖을 내다보는 남자』, 『철학하는 엘리베이터』, 『나는 오리 할아버지』가 있다. 대표작으로 「기차는 여덟 시에 떠나네」, 「테라코타」, 「금호강」, 「콘트라베이스」, 「섬말나리」 등이 있다. 김선굉의 작품은 “전통 서정의 맥을 건강하게 이으면서, 그 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데 주력하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송재학[1955~]은 경상북도 영천시 출신으로 1977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와 1986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얼음시집』, 『살레시오네집』, 『푸른 빛과 싸우다』, 『그가 내 얼굴을 만지네』, 『기억들』, 『진흙 얼굴』, 『내간체를 얻다』가 있다. 대표작으로 「그가 내 얼굴을 만지네」, 「푸른 빛과 싸우다」, 「흰뺨검둥오리」, 「닭, 극채색 볏」 등이 있다. 송재학 작품은 “양감이 풍부하면서도 절제된 언어를 통해 삶의 본질을 추구”하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엄원태[1955~]는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1990년 『문학과 사회』로 등단했으며, 시집 『침엽수림에서』, 『소읍에 대한 보고』, 『물방울 무덤』이 있다. 대표작으로 「11월」, 「4월」 등이 있고, “죽음과 사랑을 꿰뚫어 보는 ‘몸-눈’을 지녔기에 다른 이들의 몸을 제 몸인 듯 깊숙이 들여다보기도 한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규리[1955~, 본명 이화성]는 경상북도 문경시 출신으로 1994년 『현대시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앤디 워홀의 생각』, 『뒷모습』이 있다. 대표작으로 「통조림」, 「그리움」, 「섬」, 「결혼식」, 「국지성 호우」, 「우듬지」 등이 있고, “대상의 작은 부분까지 복합적으로 포착하여 우아한 세련미를 구사하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장하빈[1957~, 본명 장지현]은 경상북도 김천시 출신으로 1997년 『시와 시학』으로 등단했으며, 시집 『비, 혹은 얼룩말』, 『까치 낙관』이 있다. 대표작으로 「개망초꽃」, 「첫사랑」, 「첫눈, 쌀목탁 소리 들리는」, 「개밥바라기 추억」, 「낙관」 등이 있고, “대상을 정확하게 관찰하고 그것에 자신의 삶을 투사하여 인간 보편의 진실로 확장하는 데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문무학[1951~]은 경상북도 고령군 출신의 시조 시인으로 1981년 『시조문학』, 1982년 『월간문학』 신인상, 1988년 『시조문학』에 문학평론으로 등단했다. 시조집 『가을거문고』, 『설사 슬픔이거나 절망이더라도』, 『눈물은 일어선다』, 『달과 늪』, 『풀을 읽다』, 『낱말』, 『홑』 등이 있다. 대표작으로 「청보리」, 「풀과 나무」, 「호미로 그은 밑줄」, 「낱말 새로 읽기·7-섬」, 「그냥」 등이 있다. 문무학의 문학 세계는 “역사성과 재미성과 실험성이 공존하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경상북도 경산시 출신의 구활[1942~]은 수필가로 1984년 『현대문학』에 수필 「아버지를 만나는 강」으로 등단했다. 작품집 『그리운 날의 추억제』, 『시간이 머문 풍경』, 『바람에 부치는 편지』 등이 있다. 구활의 작품은 재미있고, “문장의 흐름이 물같이 막힘이 없고 선택된 다양한 화소들의 조합이 자연스럽다.”는 평을 듣고 있다.

아동문학가로는 최춘해와 하청호가 있다.

최춘해[1932~]는 경상북도 상주시 출신으로 1967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와 『한글문학』으로 등단했다. 동시집 『시계가 셈을 하면』, 『생각이 열리는 나무』, 『나무가 되고 싶은 아이들』, 『흙의 향기』, 『울타리로 서 있는 옥수수나무』 등이 있고, “작품 경향은 자연친화적이고 목숨을 소중히 여기”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하청호[1943~]는 경상북도 영천시 출신으로 1972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와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동시 당선, 1976년 『현대시학』에 「오동나무」 등이 추천받아 등단하였다. 작품집 『빛과 잠』, 『잡초 뽑기』, 『별과 풀』, 『초록은 채워지는 빛깔이네』가 있다. 근래에는 “자연과 삶의 내밀함을 정갈한 언어와 돋보이는 묘사력으로 시의 본질에 충실한 작품세계를 보여주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

한편, 1987년 『문학정신』 신인상으로 등단한, 대구광역시 출신 상희구[1942~]는 대구지역을 소재로 한 연작시를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시집 『대구』, 『추석 대목장날』, 『노곡동 징검다리』, 『권투선수 정복수』, 『개살이 똑똑 듣는다』, 『동화사 부도암의 홍매법문』 등이 있으며, 구수한 대구 방언을 시어로 되살림으로써 이 지역의 정서와 인정세태를 정감 있고 생동감 있게 그리고 있다.

[시인의길-한국 현대시 육필공원]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팔공산 자락, 북지장사방짜유기박물관으로 가는 길 입구에 ‘시인의 길-한국 현대시 육필공원’이 있다. 자연석을 수집하여 전시하고 있는 ‘돌, 그리고’의 운영자가 2006년 11월에 조성하였다. 이곳에는 30여 점의 주옥같은 시 작품이 자연석에 새겨져 있다. 이상화의 「설어운 해조」를 비롯하여 「봄」[윤동주], 「하늘수박」[김춘수], 「금호강」[이설주], 「여름밤」[김수영], 「동천」[서정주], 「아득하면 되리라」[박재삼] 등 대부분은 육필이고, 「모닥불」은 백석의 시집 『사슴』(1936)에서 가져왔다. 한용운의 「마저절위(磨杵絶葦)」와 고월 이장희의 「박연(博淵)」도 육필을 새겼다.

[이설주 시비]

금호강변에 2008년 1월 7일 이설주시비건립위원회·죽순문학회에서 세운 이설주 시비가 있다. 이 시비에는 자연석에 이설주 시인의 ‘금호강’이 새겨져 있다. 설주(雪舟) 이용수(李龍壽)[1908~2001]는 대구광역시 출신으로 1932년 일본잡지 『신일본민요』에 「고소(古巢)」를 발표하고, 1947년 시집 『들국화』를 내면서 본격적인 시작을 하였다. 맑고 고운 초기시 「들국화」를 비롯하여 수난과 격동의 시기에 쓴 「수난의 장」, 유현한 시상을 담은 「영혼의 새」 등 2천여 편 작품을 남겼으며, 시집 『들국화』, 『방랑기』, 『잠자리』, 『미륵』 등이 있다. 그는 “현실의식과 역사의식 등을 날카롭게 비판하고 있는 사회시적 특색을 지니고 있는 현실참여적 시”를 쓴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