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지묘동 배롱나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0278
영어공식명칭 Jimyo-dong Crape Myrtle (Lagerstroemia indica L.)
이칭/별칭 신숭겸장군나무
분야 지리/동식물,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식물/보호수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526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판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보호수 지정 일시 1999년 12월 16일연표보기 - 배롱나무 2-17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82년 3월 4일 - 시지정 기념물 제1호인 신숭겸장군유적 내 생립
소재지 지묘동 배롱나무 -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 526 지도보기
학명 Lagerstroemia indica L.
생물학적 분류 도금양목〉부처꽃과〉배롱나무속
수령 400년
보호수 지정 번호 배롱나무 2-17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신숭겸장군 유적에 있는 보호수.

[개설]

대구광역시 동구 지묘동의 배롱나무는 팔공산 전투에서 고려 태조 왕건을 대신해서 죽은 신숭겸 장군을 기념하기 위해 심은 것이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신숭겸 장군을 기념하는 표충단 주변에 배롱나무를 심은 것은 이 나무가 지닌 특별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배롱나무는 한자 백일홍(百日紅)을 우리말로 바꾼 것이다. 백일홍은 중국 송나라의 시인 양만리(楊萬里)[1127~1206]가 “누가 꽃이 백일동안 붉지 않고, 자미화가 반년 동안 꽃핀다는 것을 말하는가[誰道花無百日紅, 紫薇長放半年花].”에서 처음 등장한다. 배롱나무의 꽃이 반드시 백일동안 피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대개 나무의 꽃이 10일을 넘기지 못하는 것과 비교하면 배롱나무의 꽃은 여름내 볼 수 있으니 거의 100일간 볼 수 있는 셈이다. 중국에서는 배롱나무를 ‘자미화(紫薇花)’로 부른다. 자미는 ‘붉은 배롱나무’라는 뜻이다. 한자 미(薇)는 배롱나무를 뜻한다.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서도 백일홍은 자미화의 속명(俗名)으로 풀이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당나라 현종은 배롱나무를 아주 좋아한 사람으로 유명하다. 그는 삼성(三省)[중서성, 상서성, 문하성] 중 자신이 업무를 보던 중서성에 배롱나무를 심고, 개원원년(開元元年, 713)에 중서성을 ‘자미성(紫薇省)’으로 고쳤다. 그래서 중서성을 미원(薇垣)[배롱나무가 있는 관청]이라 부른다. 이처럼 당 현종이 중서성을 자미성으로 바꾼 것은 옛날부터 제왕의 별을 ‘자미성’이라 불렀기 때문이다. 배롱나무를 ‘간지럼나무’라 부르기도 한다. 제주도에서 이 나무를 ‘저금 타는 낭’으로 부르는 것도 간지럼 타는 나무라는 뜻이다. 배롱나무의 붉은 꽃은 고려 태조 왕건을 위해 목숨 바친 신숭겸 장군과 신숭겸을 향한 후손들의 일편단심을 의미한다.

[현황]

지묘동 배롱나무 는 대구시지정 기념물 제1호인 신숭겸장군 유적 내에서 자라고 있다. 나무의 높이는 8m, 흉고직경둘레 1.1m이며 수령은 400년이다.

[참고문헌]
  • 강판권, 『선비가 사랑한 나무』(한겨레출판사, 2014)
  •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www.nature.go.kr)
  • 대구광역시 동구청((http://www.dong.daegu.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