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60000847
한자 南光州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광주광역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노성태

[정의]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있었던 남광주역과 남광주시장 일대를 부르는 지명.

[명칭 유래]

남광주(南光州)라는 명칭은 행정구역상의 공식 명칭은 아니다. 1930년 지금의 경전선(慶全線)인 광려선(光麗線)이 개통되고 남광주역남광주시장이 들어섰는데, 역과 시장이 광주 도심에서 남쪽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남광주라 부르게 되었다.

[형성 및 변천]

광주의 남쪽이라는 의미를 지닌 남광주를 상징하는 곳은 남광주역남광주시장이다. 남광주역은 1930년 12월 25일 광주와 여수를 연결하는 광려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전라남도 광주군 지한면 홍림리[지금의 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역사(驛舍)를 짓고 '신광주역(新光州驛)'이란 이름으로 문을 연 이후 1938년 '남광주역(南光州驛)'으로 이름을 바꾼다.

남광주역이 들어서자 역사 앞과 인근에는 장이 들어서게 되는데, 이것이 남광주시장이다. 차가 흔치 않던 시절, 남광주역을 향하는 첫 기차에는 보성·조성·앵남·이양 등 전라남도 전역의 사람들이 해산물· 나물· 곡식 등을 이고 지고 탔다. 어둠이 채 가시기도 전, 기차가 플랫폼에 들어서면 색색의 보따리를 인 시골 아낙들이 역전 광장으로 쏟아졌다. 따라서 남광주시장은 광주의 하루가 시작되는 광주의 새벽을 여는 곳이 되었고, 도심 한가운데서 바다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곳이 되었다.

[현황]

2000년 8월 10일 경전선 광주 외곽 이설(移設)로 남광주역은 폐지되고, 역의 기능은 서광주역으로 넘어갔다. 광주도시철도1호선 남광주역에는 옛 남광주역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추억여행 전시관'과 누구나 들어와 책을 대여하고 다 읽은 책은 반납할 수 있는 '메트로 열린 도서관'이 있다. 지금도 남광주시장은 새벽 2시에서 5시경까지 각 항구와 포구의 어판장에서 들어온 해산물이 시내의 타 시장이나 식당으로 팔려나가는 등 활기가 넘친다.

[남광주와 관련된 시]

시인 김용휴는 『남광주에 나는 가리』라는 시집에서 새벽을 열었던 남광주를 다음처럼 노래하였다.

"설레임으로 여기 서 있다/ 아쉬움으로 여기 서 있다/ 기적소리 없는 새벽 누가 열꼬/ 비껴가는 허공의 구름일지라도/ 스치는 바람이라도/ 기적의 여운이라도/ 돌아오게 할 수 있다면/ 회상시켜 볼 수 있다면/ 광주의 새벽을 여는/ 남광주역에 나는 가리/ 삶의 질곡을 푸는/ 시골 할매들의/ 먼 숨결소리라도 들으러."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