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301827
한자 四仙
영어음역 saseon
영어의미역 Four Young Sage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신라
집필자 김창겸

[정의]

신라시대 영랑(永郞)·술랑(述郞)·남랑(南郞)·안상(安詳) 등 네 국선(國仙).

[개설]

인재를 선발하고 관리를 양성하기 위해서 진흥왕대에 제정된 화랑도(花郞徒)는 15~18세 사이의 청소년으로 조직되어 보통 3년 정도 수련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신라본기」 진흥왕 37년에는 “도의(道義)로써 서로 연마하고 혹은 노래와 음악으로 서로 즐겼으며, 산천을 찾아 노닐고 즐겨 멀리 이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화랑의 수련방법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사선이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강릉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전통적 향요(鄕謠)인 「오독떼기」는 강릉 지역의 농요(農謠)로 불교적 정서가 담긴 듯한 곡조를 갖고 있는데, 특히 「오독떼기」의 내용을 살펴보면 신라시대 화랑의 무리들이 강릉 근방을 순력(巡歷)하면서 풍류도(風流道)를 닦을 때 국선들이 부르던 노래가 곡조만 살아서 내려왔다는 설이 전해지고 있다.

[활동사항]

강릉 지역에는 다른 지역과 달리 화랑에 대한 기록들이 비교적 많이 전해지고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미륵선화(彌勒仙花)·미시랑(未尸郞)·진자사조(眞慈師條)」에는 최초의 화랑 국선(國仙)인 설원랑(薛原郞)의 기념비를 명주(溟州)에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강릉 지역에 첫 화랑의 기념비를 세웠다는 것은 화랑도의 발생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화랑도의 수련방법과 관련해서도 강릉 지역이 화랑도의 순례지로서 널리 알려졌고, 중요한 순례코스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선에 대한 기록은 대부분이 한송정(寒松亭)과 관련되어 있다. 고려시대 이인로(李仁老)[1152~1220]의 시에 사선에 대한 기록이 있는데, 『해동이적(海東異蹟)』「사선조(四仙條)」에서는 사선들이 “모두 영남 사람 또는 영동 사람을 뜻한다.”라고 하였다. 또한 안축(安軸)[1287~1348]의 시에서도 사선에 대한 기록이 있다.

특히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에 자리한 한송정사선과 관련하여 차(茶) 유적지로 알려져 있다. 한송정 정자 옆에 다천(茶泉)과 돌아궁이, 돌절구 등이 있는데, 역시 사선이 노닐던 곳으로 이인로(李仁老)의 『파한집(破閑集)』 권중(卷中)에는 “사선을 따르던 무리 3,000명이 심은 소나무가 지금도 창창하여 마치 푸른 구름과 같고, 그 아래 다정(茶井)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한송정사선과 관련되어 퉁소와 비파 등의 가락소리를 들을 수 있던 곳으로 『임영지(臨瀛誌)』「고사조(古事條) 탑산기(塔山記)」에는 “신라 화랑도였던 영랑이 불던 만파식적(萬波息笛) 한 대를 부사(府司)에 보관하고 후세에 보물로 보관해 왔는데, 거란의 침입 시 부의 아전 박정장(朴廷章)이 산성에 옮겨 두었다가 마침내 잃어버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파한집』 권하(卷下)에는 “오직 사선의 문도(門徒)가 가장 번성하여 비(碑)를 세우기까지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고, 『임영지(臨瀛志)』 불우조(佛宇條)에도 “동쪽에 사선비(四仙碑)가 있었는데, 호종단(胡宗旦)이 물에 빠뜨려 귀부(龜趺)만이 남았다.”라고 하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강릉대도호부(江陵大都護府) 누정조(樓亭條)에는 “호종단이 물에 비석(碑石)을 빠뜨린 것도 또한 기이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서 위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후에 강릉부사(江陵府使) 윤종의(尹宗儀)는 “신라선인영랑연단석구(新羅仙人永郞鍊丹石臼)”라고 새겨진 돌절구가 사선비의 귀부일 것으로 추측하였다.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1.12.16 2011 한자 최종 검토 『해동이적(海東異跡)』, 차(茶)유적지로 ->『해동이적(海東異蹟)』,차(茶) 유적지로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