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야과동작도」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201274
한자 夜過銅雀渡
영어공식명칭 Crossing Dongjak ferry at night
이칭/별칭 한밤에 동작나루를 지나며,밤에 동작나루를 건너가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동작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홍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762년 - 정약용 출생
관련 사항 시기/일시 1801년 - 정약용 강진으로 유배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801년 11월 9일연표보기 - 「야과동작도」 저술
저자 몰년 시기/일시 1836년 - 정약용 사망
배경 지역 동작나루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지도보기
배경 지역 동작진 -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지도보기
성격 한시|7언 고시
작가 다산 정약용

[정의]

조선 후기 문신 정약용이 강진으로 유배 가는 길에 서울특별시 동작 지역의 동작나루를 지나면서 형님과의 이별을 슬퍼하며 지은 한시.

[개설]

「야과동작도(夜過銅雀渡)」는 ‘밤에 동작나루를 지나며’라는 뜻이다. 동작진은 서울특별시 동작 지역의 대표적인 나루터로 한강을 건너 과천과 삼남 지역으로 갈 때 반드시 이용해야 하는 교통의 요지였다. 다산 정약용(丁若鏞)[1762~1836]은 금정 찰방에 부임할 때도 동작나루를 지나면서 「만도동작진작(晚渡銅雀津作)」을 지었는데, 그로부터 약 6년 뒤인 1801년 강진으로 유배를 가는 길에 다시 동작나루를 건너면서 「야과동작도」를 지었다.

[구성]

「야과동작도」는 7언 고시로 구성된 한시이며, 주요 내용은 정약용의 형님인 정약전과 각자의 유배지인 흑산도와 강진으로 떠나야하는 처절하고 슬픈 심경을 읊은 것이다.

1~2행과 3~4행은 도성을 출발해 청파역을 지난 정약용 형제가 배를 타러 동작진의 백사장을 걸어가는 말굽소리와 초겨울의 나루터 풍경을 보여준다. 5~6행과 7~8행은 동작나루에서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모습인데 추위와 거센 물결로 사공이 배를 젓기도 어려울 정도임을 알려준다. 9~10행과 11~12행은 밤하늘의 별들과 멀어지는 밤 도성의 풍경을 후경화하면서 먼 유배길과 이별을 앞둔 형제의 처절한 심경을 전하고 있다.

[내용]

야과동작도(夜過銅雀渡)[밤에 동작나루를 지나며]

청파역전천정흑(靑坡驛前天正黑)[청파역 앞 하늘은 깜깜하고]

일미잔월몽무색(一眉殘月濛無色)[눈썹 같은 조각달도 희미하여 빛이 없네]

한사책책향마제(寒沙策策響馬蹄)[차가운 모래 위에 말굽소리 터벅터벅]

삭풍급급취안익(朔風急急吹雁翼)[삭풍은 기러기 날개에 휘이휘이 몰아치네]

류시격선빙활고(流澌擊船氷滑篙)[얼음물이 배를 치니 상앗대는 얼어붙고]

고공각립수지직(篙工却立愁指直)[뱃사공은 물러서 뻣뻣이 언 손을 걱정하네]

홍파탕양성전웅(洪波蕩漾聲轉雄)[큰 파도 출렁이는 소리 점점 높아가니]

완교용약흔욕득(頑蛟踊躍欣欲得)[교룡이 제때라고 금시라도 뛰어들 듯]

삼성욱욱두병찬(參星煜煜斗柄燦)[반짝이는 삼성(參星)과 빛나는 북두칠성]

망각삼소환북극(芒角森昭環北極)[뾰족한 끝이 빽빽하게 북극성을 둘러 비추네]

수기처미장산곽(水氣凄迷障山郭)[강물은 싸늘하고 산도 첩첩 막혔는데]

회수종남누첨억(回首終南淚沾臆)[종남산을 돌아보니 눈물이 가슴 적시네]

[특징]

「야과동작도」한강을 건너기 위하여 반드시 거쳐야 했던 동작진을 배경으로 귀양길에 오른 다산 정약용 형제의 모습을 보여준다. 추위가 시작되는 초겨울의 강가에서 찬 바람과 거친 물결을 헤치고 유배를 떠나는 형제의 모습을 쓸쓸하고 비극적인 정조로 묘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야과동작도」는 한양에서 삼남 지방 이남으로 갈 때의 교통의 요지였던 동작나루라는 공간적 배경을 잘 보여준다. 다산 정약용이 지방관 부임이나 유배길과 같은 중요한 생애적 사건들을 겪을 때 동작나루한강을 배경으로 한 시를 지은 것도 알 수 있다. 「야과동작도」는 『다산시문집(茶山詩文集)』 제4권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