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1296 |
---|---|
영어공식명칭 | Seongjupuli (Folk Song) |
이칭/별칭 | 지신밟기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7년 4월 3일 - 「성주풀이」 채록 |
---|---|
채록지 | 「성주풀이」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 |
가창권역 | 「성주풀이」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 |
성격 | 의식요 |
기능 구분 | 세시의식요 |
가창자/시연자 | 정용팔 |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에서 지신밟기를 할 때 하던 소리.
「성주풀이」는 지신밟기의 한 과정에서 성주신에게 집안과 마을의 평화를 기원하는 소리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에서는 지신밟기를 「성주풀이」라고도 한다. 보통 성주풀이를 지신밟기로 인식하는 이유는 그만큼 성주풀이가 지신밟기의 중요한 대목이기 때문이다.
1987년 대구직할시에서 발행한 『민속예술』 160-161페이지에 사설과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가창자는 정용팔[남, 58세]로 기록되어 있으며, 조사일은 1987년 4월 3일이다.
「성주풀이」는 독창 형식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의 「성주풀이」 사설은 경상도 성주풀이 사설의 전형을 보여준다. 실제 연행에서는 한 대목을 소리하고 다음 쇠를 쳐서 장단의 짝을 맞춰준다.
주인주인 문열소 나가는 손님 들어갑니다
성주본이 어댄고 경상도 안동땅 줄기가 뚝 떨어져서/거줄기가 또 떨어져서 이 집 터전이 생겼나
앞산을 바라보니 노주봉이 완자하다/앞집에 김대무가 뒷집에 박대목아
가진연장 둘러메고 나무비로 가자서라/어디로 가잔말고 그지봉산에 올라가자
그 지붕산에 올라가서 왕자목에 대톱을 걸어/상나보탑에 소톱을 걸어 서렁서렁 톱질이야
그 나무를 캐어놓고 동민들에 내려와서/동민을 모셔다가 나무를 운반해 놓고
이집 터전을 다져보자 구분나무는 곧 발라치고/상농보땅을 파다놓고 보리연목을 따다 놓았는데
그집을 지어놓고 사모에다 핑경달아/동상풍이 거뜻불며 핑경소리가 요란하다
새별 그늘은 요강대를 벌치맡에 밀쳐놓고/공단이불 요이불을 방방이 펴놓고
우리낭군 진비개를 둘이쌍쌍 마주비고/아들애기 낳거들랑 서울에다 데려가고
말성급제 소원성취 마음대로 되어주고/딸애기를 낳거들랑 부모님께 효성하고
남편에게 열려하라 이에루 지신이야/성주대야 지신이야 나무아미타불
「성주풀이」는 지신밟기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대목으로 여겨진다. 「성주풀이」에서는 집터를 관장하는 성주신에게 액운을 물리치고 복을 빌어 주게 된다. 이를 통해 마을 사람들은 성주신의 능력과 성주풀이의 효험을 진정으로 믿게된다.
현재도 각 마을마다 음력 정초에 지신밟기를 하는 곳이 많다. 지신밟기를 하면 가장 중요하게 연행하는 부분이 바로 「성주풀이」 대목이므로 「성주풀이」의 전승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 중대동의 「성주풀이」는 사설의 내용이 잘 갖추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