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1288 |
---|---|
영어공식명칭 | Im Song (Folk Song) |
이칭/별칭 | 첩노래,임타령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3년 8월 13일 - 「임노래」한국정신문화연구원 채록 |
---|---|
채록지 | 「임노래」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
가창권역 | 「임노래」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성격 | 노동요|유희요 |
토리 | 메나리토리 |
출현음 | 미·솔·라·도·레 |
기능 구분 | 길쌈노동요|가창유희요 |
형식 구분 | 독창 |
박자 구조 | 3소박 4박 |
가창자/시연자 | 서상이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에서 길쌈을 하거나 놀 때 부르던 노래.
「임노래」는 일반적으로 길쌈노동요 또는 가창유희요로 불린다. 길쌈의 힘든 과정을 잊기 위해 부르기도 하고 혼자 있을 때 적적함을 달래기 위해 부르기도 하기 때문이다.
「임노래」는 1985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7-13 대구직할시 편 840-841쪽에 사설이 수록되어 있으며, 채록시기는 1983년 8월 13일이다.
「임노래」는 주로 혼자서 부르는 독창 형식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임노래」는 무정한 님에 대한 섭섭한 마음을 노래하는 전형적인 임노래 혹은 첩노래의 사설을 지니고 있다. 비녀 팔고 댕기 팔아 먹을 것을 사 왔건만 내 님은 어디를 가고 답답한 내 신세만 처량하다는 내용이다.
노자노자 젊어서놀아
까막깐치 깍깍직고/임모야병은 짙어오네
전라도라 천안장에/비녀팔고 댕기팔아
유자사고 감자사고/임있는곳이라 찾아오니
가고없네 가고없네/우론님은 가고없네
무정하다 무정하다/우론님아 무정하다
참위거치 연한맘을/무리거치 맛을들이
손수박에 칼을찔러/멋없이도 여힜구나
어이구어이구 아구아이구/
멋없이도 여의의고/날버리고 어디갔노
아이구답답 우예살꼬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임노래」는 지역의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부녀자들의 삶의 애환이 담겨 있으며, 길쌈요 또는 가창유희요로 다양한 기능을 담당한 민요로 그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