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201279 |
---|---|
영어공식명칭 | Bangae Taryeong (Traditional Korean Ballad) |
이칭/별칭 | 방아타령,방애소리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7년 7월 21일 - 「방애타령」 채록 |
---|---|
채록지 | 「방애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
가창권역 | 「방애타령」 -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
성격 | 노동요 |
기능 구분 | 노동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권현쇠 |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던 노래.
「방애타령」은 일반적으로 방아를 찧을 때 일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기 때문에 힘차고 단순하다. 동작과 박자의 관계가 명확하며 사설의 내용도 방아찧기와 연관되어 있다.
「방애타령」은 1987년 대구직할시에서 발행한 『민속예술』 233-234페이지에 사설과 그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제보자는 권현쇠[남, 73세], 조사일은 1987년 7월 21일이다.
「방애타령」은 선후창 형식이다.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의 「방애타령」은 선창자가 앞소리를 하면 여러 명이 ‘우우 방에야’의 뒷소리를 반복한다. 「방애타령」의 사설은 방아찧기 행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우 방에야 우우 방에야/이방아가 누방아고 우우 방에야
강태공에 젖은방아 우우 방에야/강태공은 어딜가고 우우 방아야
방애하나만 남았는가 우우 방아야/덜거덩 덜거덩 찍는방아 우우 방아야
하루찌도 사천석 우우 방아야
「방애타령」은 현재는 방아를 찧는 일이 거의 없고 기계를 이용하므로 현장에서 방아소리는 생명력을 잃었다. 다만 농요보존회를 중심으로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대구광역시 동구 안심동의 「방애타령」은 방아찧는 행위와 연계하여 1음절 4자, 2음절 한 장단을 노래하는 정형성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