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4500 |
---|---|
한자 | 養士齋 |
영어공식명칭 | Yangsajae |
분야 | 종교/유교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박세욱 |
건립 시기/일시 | 1766년 - 양사재 건립 |
---|---|
개축|증축 시기/일시 | 1991년 12월 - 대구향교 양사재 재건 |
현 소재지 | 양사재 - 대구광역시 중구 명륜로 112[남산동 735-4] |
원소재지 | 양사재 - 대구광역시 중구 교동 |
성격 | 강학공간 |
양식 | 복층의 맞배지붕 양식 |
정면 칸수 | 5칸 |
측면 칸수 | 3칸 |
소유자 | 대구향교재단 |
관리자 | 대구향교재단 |
[정의]
조선 후기 대구향교에 건립된 강학 공간.
[개설]
1766년(영조 43) 대구판관 김로(金魯)가 지역의 가난한 선비들이 기숙하며 안정적으로 학문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공전(公田)을 들여 건립한 강학 공간이다. 1767년 경상도관찰사 김응순(金應淳)[1728~1774]이 기문을 써서 김로의 선비 양성 의지를 치하하였고, 김로도 기문을 남겼다.
[위치]
양사재는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동 735-4의 대구향교 경내에 있다.
[변천]
정유재란이 끝난 뒤인 1599년(선조 32)에 현 중구 달성동의 달성공원에 재건된 대구향교는 1605년 중구 교동으로 이건하였다. 이후 1932년 중구 남산동으로 옮기면서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 서무(西廡)만 건립되었으나 1991년 12월에 양사재가 재건되었다.
[형태]
양사재는 아래층은 철근 콘크리트, 위층은 목조로 이루어진 복층 구조이다. 상부는 목조로 된 혼합 구조의 건물이다. 위층의 목조 건물은 정면 5칸, 측면 3칸이며 낙육재(樂育齋)와 거의 유사한 형식을 보여 준다. 아래층의 면적은 36평[약 119㎡]이며, 위층은 32평[약 106㎡]이다.
[현황]
양사재의 아래층은 여성유도회 및 대구향교, 여상학예연구원의 교육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