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206013
한자 晩山遺稿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여좌동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엄경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30년 - 『만산유고』 저자 배병원 사망
편찬 시기/일시 1940년연표보기
간행 시기/일시 1940년 - 『만산유고』 간행
성격 문집
저자 배병원
편자 배재우
간행자 배재우(裵在佑)
표제 晩山遺稿

[정의]

조선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 지역에서 활동한 학자 배병원의 문집.

[개설]

배병원(裴炳元)[1866~1930]은 자가 윤장(允章)이고, 호는 만산(晩山)이며 본관은 달성(達城)이다. 아버지는 증중추원의관(贈中樞院議官) 죽초(竹樵) 배치규(裵致奎)이며, 어머니는 숙부인(淑夫人) 밀양(密陽) 변씨(卞氏)로 변응점(卞應點)의 딸이다.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했으나 실패하고 오로지 학문과 수양과 후학들을 가르치는데 힘썼다. 뒤에 관에서 천거하여 1906년에 웅천군승(熊川郡丞)이 되었다. 1909년에는 창원부승(昌原府丞)으로 옮겼다. 이후 1910년에는 고향으로 돌아와 두문불출하며 세상일에 관여하지 않고, 간재(艮齋) 전우(田愚) 선생과 교유하는 등 학문에 힘썼다. 65세에 별세하자 사림장(士林會葬)으로 촉화산(燭火山) 기슭 화전등(花田嶝) 해좌(亥坐) 들에 묘를 썼다. 수원(水原) 백씨(白氏) 백승홍(白勝紅)의 따님과의 사이에 4남 2녀를 두었다. 장남은 배재우(裵在佑), 차남은 배재황(裵在晃), 다음은 배재희(裵在禧), 배재선(裵在璿)이다. 딸 둘은 각각 선산(善山) 김시완(金時完)과 함종(咸從) 어명관(魚命寬)과 결혼하였다.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 웅천(熊川) 동대장리(東大壯里)에 서재인 겸산재(兼山齋)를 세웠는데 지금까지 보존되고 있다. 직접 쓴 ‘겸산재상량문’이 있고, 기문이 1930년에 오진영(吳震泳) 등 6 편, 제영(題詠)이 26편 있다.

[편찬/간행 경위]

저자 배병원이 1930년 사망하고 난 10년 뒤인 1940년에 아들 배재우(裴在佑)가 문중의 많은 사람들과 함께 유고(遺稿)를 정리하여 간행하였다. 서문(序文)은 문봉호(文鳳鎬)가 썼다.

[서지적 상황]

1940년 활자로 간행하였다. 총 4권이다.

[구성/내용]

제1권은 시(詩)와 사(辭), 제2권은 서(書)와 잡저(雜著)·서(序)·기(記)·발(跋), 제3권은 책(策)·상량문(上樑文)·제문(祭文)·행장(行狀)이 실려 있다. 제4권은 부록(附錄)으로서 아들 배재우의 가장(家狀)과 조한규(趙瀚奎)의 행장 및 묘갈명(墓碣銘)·묘지명(墓誌銘)·제문(祭文)·만사(挽詞)와 겸산재 관련 글과 융친계(隆親契) 관련 글이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배병원은 조선 시대 말기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스스로의 학문과 수양은 물론이거니와 후학들의 교육에도 힘써 창원 지역의 정신적 유산을 뚜렷이 남긴 인물이며, 그의 문집은 그 양이나 질에 있어서 여타의 그 어떤 것에도 뒤지지 않는 훌륭한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