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서 전해 내려오는 의성 현령 유심춘에 대한 이야기. 의성 현령을 지냈던 강고 유심춘의 청백한 인품과 선정에 대한 내용을 담은 인물 전설이다. 1998년 의성 군지 편찬 위원회에서 발행한 『의성 군지』에 「강고 선생의 청백」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으며, ‘의성 문화 관광’ 홈페이지에도 같은 제목으로 소개되어 있다. 강고(江皐) 유심춘(柳尋春) 선생은 비록...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와 덕지리에 한글 풀이를 소재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국문 뒤풀이」[일명 「언문 뒤풀이」]는 한글 자모음의 결합 순서에 따라 4음보 율격에 맞춰 말을 이어가는 글자 풀이 노래이다. 이 노래는 아이들이 한글을 익히기 위해 ‘가갸거겨’부터 시작하여 부른 유희요로, 의성군 다인면에서 불려진 「국문 뒤풀이」의 경우 ‘라, 마, 자’가 누락된 부분이 있는데...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의 화전놀이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대곡사의 화전놀이」는 비봉산 대곡사 인근에서 벌어졌던 화전놀이의 실상과 함께, 화전놀이가 일제 강점기 때 의성군민에게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는지도 전해주는 전설이다. 1979년 의성군 교육청에서 발행한 『문소의 얼』에 「대곡사의 화전놀이[민속놀이]」라는 제목으로 소개되어 있으며, 자료 제공자는 ‘신산 초등...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있는 들돌베이라는 지명의 유래 이야기.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는 보기와는 달리 들어 올리기가 쉽지 않은 들돌이 있는데, 그 돌로 인해 마을 이름이 정해지게 된 유래를 담고 있는 지명 유래 전설이다. 1971년 유증선이 편저한 『영남의 전설』에 「들돌베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1968년 10월에 삼분 초등학교 유태영이 제보한 이야기라고 한...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각설이 타령. 의성군 다인면에서 전해져오는 「해방 각설이」는 비 기능요이자 유희요인 각설이패가 부르던 타령으로 장타령이라고도 한다. 비애가 서려 있는 타령조로 되어 있다. 대개 가사 한 자가 반 박자마다 규칙적으로 들어가는 4·4조의 노래로 일정한 형식 없이 목청껏 뽑아 부른다. 「해방 각설이」는 다인면에 거주하는 권용출[1923년생...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가산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면 다인면 외정 2리 동쪽 1㎞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외정리의 뒷쪽에 있어서 ‘뒷못’이라고 불렀던 가산 저수지는 1951년 한해 대책 사업으로 설치된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다인면의 남단에 위치하고 있다. 가원 1리와 가원 2리로 나누어져 있으며 비봉산(飛鳳山)에서 흘러내리는 개울이 마을 앞을 흐르고 있다. 동쪽으로 외정리, 서쪽으로 서릉리, 남쪽으로 신락리, 북쪽으로 송호리와 면하고 있다. 동북쪽으로는 구릉성산지, 남서쪽으로는 저평한 들판이 펼쳐져 있어 논농사와 과수 재배가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1914년 행...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광덕지는 경상북도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다인 중학교를 지나면 저수지가 나타나며 저수지 주변에는 연밭, 갈대, 부들이 우거져 있으며, 저수지 위쪽에는 비봉산[579.3m] 푸른 숲길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한 천년 고...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조선 후기 신일화(辛日和)[1760~1823]가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신일화의 본관은 영월(寧越), 자는 화숙(和叔), 호는 구암(龜巖)으로 경상북도 예천군 개포면 경진리 검암 마을에 있는 옥동사(玉洞祠)에 향사된 신달정(辛達廷)의 후손이다. 천품이 영매하고 기상이 뛰어났으며 행동은 항상 조용하였다고 한다. 구암정(龜巖亭)은...
-
일제 강점기 의성 출신의 교육자. 본관은 김녕(金寧). 자는 응소(應韶). 김우성(金禹聲)[1876~1947]은 의성군 다인면 덕지 3리 출신으로, 일찍이 재질이 특출하여 아버지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13세에 대구 감시(監試)에서 입선하니 소년 재사(才士)로 문명을 떨쳤으며, 더욱 면려정진(勉勵精進)하여 학업이 크게 성취하였다. 과거에 응시하여 합격하고 우정국 주사(主事)에 임명...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내산정 저수지는 삼정 교회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네의 옛 지명을 따 내산정못이라고도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내산정 마을의 유래는 350년 전 광산 노씨(光山 盧氏)가 개척하였으며, 지리상 산우물 구역을 한 생활권으로 만들어 안쪽에 위치하였다 하여 내산정이라 한다. 주변에는 비봉산[579.3m] 푸른 숲길과 1368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송호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내송화 저수지는 동네의 옛 지명을 따 내송화못이라고도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송화 마을은 산골짜기에 위치하여 솔나무 꽃향기가 가득하므로 송화(松花)라 칭하고, 380년 전 김대열이 사호에서 분규하여 송화 마을을 개척한 이후 산 안에 위치한다 해서 내송화라 칭하였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에 있는 수리 구조물 개발 업체. 주식회사 농지 개량은 1994년 설립되어 철근 콘크리트 플륨 및 벤치 플륨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공급하고 있는 최고의 핵심 역량을 갖춘 수리 구조물 개발 업체이다. 1998년부터 현재까지 철근 콘크리트 플륨 및 벤치 플륨, 용접 철망을 주력으로 생산하고 있다. 주식회사 농지 개량은 1992년 12월 8일에 농림부 장관으...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에 지역 주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조성된 농공 단지. 농공 단지는 1983년 말에 제정되어 1984년부터 시행된 「농어촌 소득원 개발 촉진법」에 의하여 지정되었다.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방 자치 단체가 스스로 재정을 확보하고, 공업을 지역적으로 적절하게 분배하여 도시와 농어촌 간의 경제적 불균형을 해소하며, 공업 단지를 능률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지방...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농업 협동조합. 다인 농업 협동조합은 다인면, 단북면 지역 농업인의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조합원이 생산한 농산물의 판로 확대 및 유통 원할화를 도모하며, 조합원이 필요로 하는 기술·자금·자재 및 정보 등을 제공함으로써 조합원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1969년 8월 29일 33개 이동조합을 합병하고 1969년 1...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천주교 안동 교구 소속의 천주교 교회.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이웃하는 안사면 쌍호리에는 1866년 병인박해 전부터 공소가 있었기 때문에 다인면의 전교는 그곳으로부터 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하지만 다인면에서의 실제적인 복음 전파는 1948년 상주의 다래 공소 출신인 김시종이 의성 지역으로 이사해 오고, 1952년 경상북도 예천에 살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전통 시장. 시장은 일반적으로 상설 시장과 정기 시장으로 분류된다. 상설 시장은 일정한 지역에서 사람들이 항상 상품의 매매와 교환을 하고 있는 시장을 말하며, 정기 시장은 일정 구역 내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말한다. 의성 지역의 시장은 상설 시장 1곳, 정기 시장 9곳이며 상설 시장은 의성읍에 자리 잡고 있다. 정기 시장은 의성읍, 단촌...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었던 공립 고등학교. 건강한 사회를 구현할 인성을 기른다. 미래 사회에 대비하는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모두가 행복한 교육 복지를 실현한다. 신뢰와 봉사의 지원 행정 구현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부지런하게’ 이다 1969년 11월 19일 고등학교 설립 기성회가 조직되었고, 1972년 3월 1일 개교하였다. 1976년 3...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공립 중학교. 건강한 사회를 구현할 인성을 기른다, 꿈과 소질을 키우는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사랑과 나눔의 교육 복지를 실현한다, 믿음과 소통의 지원 행정을 구현한다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참되고 슬기롭고 부지런하게’ 이다. 1951년 6월 15일 다인 중학교 기성회를 조직하여 1952년 2월 12일 개교하였다. 1976년 3월...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바르게 생활하는 어린이[도덕인], 스스로 공부하는 어린이[자주인], 새롭게 생각하며 세계화에 부응하는 어린이[창의인], 몸과 마음이 튼튼한 어린이[건강인]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교훈은 ‘성실하고 꿈을 지닌 어린이’ 이다. 1923년 12월 14일 다인 공립 보통학교로 설립 인가를 받아 1924년 7월 1일 개교하였다. 19...
-
경상북도 의성군에 있는 행정 구역.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현동(縣東), 현남(縣南), 현내(縣內) 등 3개 면을 합해 예전에 있었던 행정 구역 명칭인 다인현(多仁縣)에서 이름을 따 왔다. 다인면은 본래 다기현, 달이현으로 불리다가 신라 시대인 757년(경덕왕 16)에 다인현이 되어 상주에 예속되었다가, 고려 시대인 1274년(원종 15) 보주[예천군]의 속현이 되었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서 같은 본관의 성씨들이 모여 사는 마을. 다인면은 조선 시대 다인현 지역이다. 서릉리(西陵里)·산내리(山內里)·가원리(佳院里)·송호리(松湖里)·도암리(陶岩里)·평림리(平林里)·덕지리(德池里)·양서리(陽西里)·용곡리(龍谷里)·봉정리(鳳井里)·달제리(達堤里)·삼분리(三汾里)·외정리(外井里)·용무리(龍武里)·신락리(申樂里) 등 16개 법정리와 38개 행정리, 1...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서릉리에 있는 다인면 관할 행정 기관. 경상북도 의성군을 구성하고 있는 1개 읍 17개 면 중 다인면의 행정 사무를 관장하는 기관이다. 다인면사무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의 행정, 민원 및 주민의 복리 증진과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현내면, 현동면, 현남면을 합하여 다인면으로 개칭하고 법정 14, 행정...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지역의 옛 지명. 신라 시대에 원래 달이현(達已縣)[또는 다이현(多已縣)]이었으나, 757년(경덕왕 16) 12월에 이루어진 군현 개편 때 다인면 지역은 달이현(達已縣)에서 다인현(多仁縣)으로 개칭되어 상주에 소속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권34 지리지1 상주조에 “다인현은 본래 달이현(達已縣)이었는데[혹은 다이(多已)라고도 한다] , 경덕왕 때 지금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달동, 모창동, 금제동을 병합하였다. 이때 달동과 금제의 이름을 따서 달제동[달제리]이라 하였다. 달동(達洞)은 조선 시대 과거 보러 가는 사람이 이 마을에서 쉬어가면 통달(通達)한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금제(金堤)는 달제(達堤) 1리에 있는 양지산을 바라보니 금(金)이 날 것 같았고, 그 산 모양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 대곡사(大谷寺)는 고려 시대인 1368년(공민왕 17)에 인도 승려 지공(指空)과 왕사인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창건 당시에는 태행산(太行山) 대국사(大國寺)라 하였고, 적조암을 비롯하여 9개의 암자가 있었다. 정유재란 때 대곡사와 암자의 대부분이 소실되어 적조암만 남...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대동지는 문암산 밑의 큰 고을이라는 의미를 가진 대동(大洞)이라는 옛 지명을 따 대동못이라고도 불리는 2종 저수지이다. 가음에서 춘산 방향으로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다 보면 풍혈과 빙혈로 유명한 의성군 군립 공원인 빙계 계곡 사거리가 나온다. 빙계 계곡 방향으로 직진하여 현리 마을을 지나면 대동 마을이 나오며, 대동 마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미력동(彌力洞), 음곤동(陰昆洞), 상광덕동(上光德洞)의 일부를 병합하여, 광덕과 미력의 이름을 따서 덕미동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들의 유래는 다음과 같다. 광덕(光德)은 비봉산을 배경으로 금이 많이 생산되었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상광덕은 광덕의 위에 있다하여 칭한 것이다. 미륵(彌勒)은 마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는 경로 회관에서 약 100m 떨어진 다인면 덕미리 146의 미륵당과 미륵당에서 북쪽으로 100m 떨어진 덕미리 284-4의 골맥이당에서 매년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동제를 지내고 있다.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는 과거부터 미륵불을 동신으로 모시고 있으나 그 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덕지 교회는 1925년 10월 3일 김성태의 집에서 전도 집회를 하면서 시작되었는데, 1926년 2월 19일 정재순 목사가 부임하면서 정식으로 설립되었다. 1928년 2월 10일 33㎡ 규모의 토담 초가 예배당을 세웠고, 1939년 10월 6일 일제의 탄압으로 교회가 폐쇄되었다. 1951년 4월 15일 토...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덕촌동, 말지동, 하광덕동, 상광덕동 일부를 병합하여 덕촌과 말지의 이름을 따서 덕지동이라하였다. 자연 마을인 여우리는 동협(東莢)에서 서울로 가는 길목으로 산세가 험하여 사람 10명이 동행해야 지나갈 수 있다 하여 "열명"에서 여우리로 변하였다. 살구제는 이 마을 뒷산 고개에 많은 살구나무가 있었다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도관 저수지는 대구광역시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삼분교를 지나 우측 농도 304호선을 따라 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이다. 삼분리의 유래는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으로 하였으며, 뒷날 세 곳의 물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성혈을 새겨놓은 바위. 도암리 성혈암은 바위 면에 새겨진 바위그림 또는 고인돌의 덮개돌에 새겨져 있는 것처럼 다산, 풍요를 기원하는 등의 당시 사람들의 염원을 담은 유적으로, 그 생성 연대는 바위그림, 고인돌의 축조 시기와 같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인면사무소에서 서릉길을 따라 왼쪽으로 250m 정도 가면 지방도 923호선[자미로]과 만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도산동(陶山洞)과 백암동(白岩洞)에서 한 글자씩 따서 도암동(陶岩洞)이라 하였다. 자연 마을 동마람은 마을 동쪽의 산등에 말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하여 동마암(東馬岩)이라 부른 것이, 그 뒤 변음되어 동마람이라 하였다 한다. 마산두 마을(馬山頭 마을)은 뒷산의 형태가 말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마...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등곡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삼분교에서 농도 304호선을 따라 가면 삼분 초등학교 뒤쪽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주변에는 저수지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국도 28호선을 따라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 비봉산 남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덕지리와 산내리를 거쳐 상주시 중동면 신암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말지천은 의성군 다인면 덕미리 비봉산의 남서쪽 사면에서 발원하여, 덕지리와 산내리를 따라 남쪽으로 흐르다가 상주시 중동면 신암리를 거쳐 낙동강으로 유입된다. 하천의 총 길이는 8.5㎞이며, 최대 하폭은 30m 정도이다. 말지천은 상주시 중동면 신...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모산 저수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가원리와 용무리 경계 지점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 대곡사(大谷寺)가 있다. 모산 저수지는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벽수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안계면 소재지를 지나 우측 다인 휴게소에 이르기 전에 우측 농로를 따라 올라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이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에 있었던 조선 시대 사설 교육 기관. 봉남 서당(鳳南 書堂)은 김진엽(金振曄)이 건립하였다. 김진엽의 본관은 김녕(金寧), 호는 봉남(鳳南)이다. 덕양 서원(德陽 書院)에 배향된 김문기(金文起)[1399~1456]의 5세손이다. 봉남 서당(鳳南 書堂)은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지 3길 41-28[다인면 덕지리 191]에 위치하고 있다. 마을 경로당에...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동정동, 봉평동, 산막동을 병합하여 봉평과 동정의 이름을 따서 봉정동이라 하였다. 비봉산에 날아드는 봉을 못 날아가게 하기 위하여 죽림마을을 만들고 봉이 먹을 우물을 만들기 위해 봉정[봉의 샘]을 만들었다고 하여 봉정이라 칭하였다는 설도 있다. 자연 마을인 삼학은 마을의 느티나무에 학 3마리가 날아와 앉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산내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사갑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으로 국도 28호선을 따라 가면 산내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마을 뒷산 기슭이 마치 뱀이 누워있는 형상과 같다 하여 사갑못이라고도 불린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飛鳳山)[579.3m]과...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내동과 신촌동 일부를 병합하여 산내동이라 하였다. 내동(內洞)은 조선시대 1609년 황의중(黃義中)이라는 선비가 개척하였는데, 양지바르고 아늑한 산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내동이라 칭하였다고 한다. 음달(陰達)은 불당 남동쪽에 있는 산밑 음지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햇빛이 오후가 되어야만 들므로 음달이라 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외정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산정 저수지는 대구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국도 28호선을 따라 안계에서 다인 방면으로 가다 다인 휴게소 앞으로 들어가면 입구 쪽에서 산으로 올라가는 시멘트길이 있다. 이 길을 따라 3㎞ 가면 우측 아래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현지 주민들은 ‘뒤골 큰못’으로 부른다. 산 안에 맑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삼분 교회는 1905년 10월 1일 김재언이 천주교에서 개종한 뒤 전도 활동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김재언의 전도 활동으로 신자가 증가하자, 1906년 2월 초가 3칸 규모의 예배당을 건축한 뒤, 1921년 예배당을 49㎡ 규모로 증축하였다. 1922년 분양 학술 강습회를 설립하여 학생 60여 명을 교육하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통합] 소속 교회. 1905년 10월 5일 김재언이 천주교에서 개종한 뒤 전도하면서 삼분 교회가 시작되었다. 1922년 2월 초가 8칸을 교실로 하여 분양 학술 강습회를 열었다. 1930년 3월 함석집 12칸으로 된 예배당과 사택을 건축하였다. 삼분 동부 교회는 1966년 삼분 교회에서 분립하여 조재봉 목사가 첫 부임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이라 하였다고도 하고, 유명한 고분이 세 군데가 있어서 삼분이라 하기도 한다. 뒷날 세 곳의 물줄기를 잡아서 도관 저수지, 삼풍 저수지, 용천 저수지를 만들었다. 비릿재는 삼분에서 달제로 넘어가는 고개로 옛날 한양으로 가는 길목이었는데, 길손들이 산적들의 습격을 받아 많은 사람이 죽...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삼풍 저수지는 대구광역시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타고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삼분교를 지나면서 우측 농로 쪽으로 올라가면 나타나는 2종 저수지다. 삼분리의 유래는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으로 하였으며, 뒷날 세 곳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신락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상신 저수지는 웃날미[상신(上申)]를 지나 당아골에 있는 소류지인 2종 저수지이다. 마을 이름은 뒷산 이름 증산(甑山)이 와전되어 신산(申山)으로 부르게 되었으며, 본 마을과 구(舊) 마을, 웃날미 등 3개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욋날미는 신산 왼쪽에 있다는 뜻이며 ‘욋날뫼’가 ‘웃날미’로 된 것이며, 웃날미 이름을 따 상...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서리동·원동·도구동·금릉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서리와 금릉의 이름을 따서 서릉동이라 하였다. 또한 서쪽에 언덕이 있다는 뜻에서 서릉리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깊으내는 짚으내, 심천(深川)이라고도 하는데, 약 450년 전에 이 마을을 개척하였을 때 마을이 비교적 지대가 낮고 마을 아래쪽에 우거진 갈대숲이 있...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송화동(松花洞)과 사호동(沙湖洞)의 이름을 따서 송호동(松湖洞)이라 하였다. 송화는 소나무가 울창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고, 내송화는 송화의 안쪽 마을이기 때문에, 외송화는 내송화에 비해 바깥에 위치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외송화는 내송화 보다 후에 생겼다 하여 샛터라고도 불린다. 사호는 1525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사사동과 고락동, 신산리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신산(申山)과 고락(高樂)의 이름을 따서 신락(申樂)이라 하였다. 신산은 산세가 원숭이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고락은 인근 지방에까지 알려질 정도로 유명한 옹기점이 있었다고 하여 ‘점마을(店 마을)’이라 하던 것을 일제 시대부터 고락이라고 바꾸어...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신락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신산 저수지는 신락리 외정교 남쪽에 있는 2종 저수지이며, ‘못안못’이라고 불린다. 마을 이름은 뒷산 이름 증산(甑山)이 와전되어 신산(申山)으로 부르게 되었으며, 마을 이름을 따서 신산못이라 한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가다 보면 비봉산(飛鳳山)[579.3m]과 공민왕 17년(1368년)에 왕사인...
-
조선 후기 의성 출신의 학자. 본관은 영월(寧越). 초명은 일화(一和). 자는 화숙(和叔). 호는 구암(龜巖). 아버지는 신명담(辛命聃), 어머니는 권영의 딸 예천 권씨(醴泉 權氏)와 이덕승(李德升)의 딸 경주 이씨(慶州 李氏), 할아버지는 신동도(辛東道), 증조할아버지는 신필감(辛必甘), 부인은 장달룡(張達龍)의 딸 순천 장씨(順天 張氏)로 알려져 있다. 신일화(辛日和)[1760...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양서리에 있는 대한 예수교 장로회[합동] 소속 교회. 양서 교회는 1926년 의성군 풍양면 괴당 교회에 다니던 최세현이 최정수에게 전도하여 1928년 봄에 의성군 다인면 양서리 613번지 초가집에서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1929년 1월 15일 설립되었으며, 1936년 3월 양서리 580-2번지로 이전하면서 39㎡ 규모의 목조 예배당을 신축하였다. 19...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양곤동(陽昆洞)의 ‘양’자와 이웃 서동동(西東洞)의 ‘서’자를 따서 양서라고 오늘날까지 부르게 되었다. 비봉산의 ‘봉(鳳)’은 대나무 열매[竹實]를 먹고 산다하여 마을 이름을 곤대[昆竹]라 하였으며 양지쪽에 있는 마을을 양지 곤대, 음지쪽에 있는 마을을 음지 곤대라 하였고, 이를 줄여서 양곤(陽昆), 음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에 따라 내산정동, 외산정동, 고락동 일부를 병합하여 외산정동의 이름을 따서 외정동이라 하였다. 외정은 본래 산 안에 맑은 물이 흘러넘치는 우물이 있어 산우물[山井]로 불리다가 일제 강점기에 행정상 안 산우물은 외정 1리, 바깥 산우물은 외정 2리로 개편되어 외정으로 불리고 있다. 구지동은 못이 아홉개가 있다 하여...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용곡리에 있던 옛 나루터. 큰 강은 내륙 지방에서의 주요한 교통수단의 하나로 사용되었으나 때로는 지역과 지역의 흐름을 방해하기도 했다. 이에 지역 간의 흐름을 이어주기 위하여 배를 이용하여 강이나 내를 건너다닐 수 있도록 큰 강 유역에는 수많은 나루터가 만들어졌다. 용곡 나루터도 그 중 하나로, 아득한 예부터 낙동강을 가로질러 남북을 내왕하는 길손들이 끊임없...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을 통합하면서 경상북도 비안군 현내면의 반용동과 우곡동의 이름을 따서 용곡동이라 하였다. 동동(東洞)은 고려 말 밀성 고을이 현재 양서 2리에 위치였는데 밀성 마을의 동쪽에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반용(蟠龍)은 조선 후기 광해군 때 정변으로 좌승지 김진수가 도피처를 찾아 낙동강을 따라 내려오다가 풍양면 경계 섬바산...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단북면에서 다인면으로 편입되면서 용산의 용자와 무릉의 무자를 합하여 용무리가 되었다. 용산(龍山)은 마을 뒷산이 용같이 새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이정시라는 선비가 개척하였다고 한다. 무리 혹은 무릉(武陵)은 임진왜란 전후에 금도평(琴道平), 최경(崔璟) 두 사람이 산수가 아름다운 이곳을 정착하여 개척했는데, 특히 봄철에 복숭아꽃이 산야...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용무리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돌무덤. 용무리 고인돌은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용무리 산11에 있다. 다인면사무소에서 왼쪽으로 서릉길을 따라 250m 이동하여 지방도 923호선[자미로]을 따라 남서쪽 다인면 방향으로 3㎞ 정도 이동하면 용무리가 나오고 650m 정도 더 가면 오른쪽으로 소로가 있다. 소로를 따라 다시 600m 정도 더 가면 의성군 상하수도 사업...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용천 저수지는 삼분리에 있는 2종 저수지다. 삼분리의 유래는 마을 개척 당시 주위 세 곳에서 물이 많이 솟아오르므로 삼분으로 하였으며, 뒷날 세 곳의 물줄기를 잡아서 도관지, 삼풍지, 용천지라는 저수지를 만들었다. 또 다른 유래는 이 지역에 고분이 세 군데가 있어서 삼분이라 한다.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전각. 대곡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1368년(공민왕 17) 인도 승려 지공(指空)과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창건 당시에는 대국사(大國寺)라는 이름이었다고 하는데, 이는 지공이 원과 고려 두 나라를 다니면서 불법을 편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 세종...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종각. 대곡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1368년(공민왕 17) 인도 승려 지공(指空)과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05년(선조 38) 중창되었고, 1687년(숙종 13) 태전 선사(太顚 禪師)가 다시 중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범종각은 종을 봉안했던 곳인데, 지금은 종이 없...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조선 시대 불화. 「의성 대곡사 삼화상 · 조사 진영」은 지공(指空)·나옹(懶翁)·무학(無學)의 「삼화상 진영(三和尙 眞影)」과 「청허당 휴정 진영(淸虛堂 休靜 眞影)」, 「사명당 유정 진영(泗溟堂 惟政 眞影)」, 「포허당 담수 진영(抱虛堂 曇秀 眞影)」 등 4폭의 초상화로 조선 시대에 제작되었다. 2010년 11월 11일 경상북도...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조선 시대 탱화. 「의성 대곡사 지장보살도」는 지옥 중생을 구제하는 지장보살(地藏菩薩)을 그린 조선 시대 불화이다. 2010년 11월 11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426호로 지정되었다. 「의성 대곡사 지장보살도」는 가운데에 지장보살을 배치하고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육광보살과 시왕, 제석·범천, 동자, 사천왕 등 여러 권속을 배치...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신라 말 고려 초 다층 석탑. 의성 대곡사 다층 석탑은 대곡사(大谷寺)의 대웅전 앞에 있으며 탑신을 점판암으로 만든 청석탑(靑石塔)이다. 대곡사는 1368년(공민왕 17) 왕사인 지공(指空) 선사와 나옹(懶翁) 선사가 창건한 절로 처음에는 ‘대국사(大國寺)’라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이규보가 1196년(명종 26) 8월 17일에 대곡사를...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조선 후기 전각. 대곡사는 1368년(공민왕 17)에 지공 선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하였다고 하는 사찰로서,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명부전은 대곡사의 부속 전각으로, 사후 세계를 담당하는 지장보살을 봉안한 건물이다. 대곡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봉정리 894]에 있다. 비봉산 아래에 위치하...
-
고려 후기 의성 출신의 문신. 원래 본관은 전주(全州)이나 고려가 멸망한 후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으로 낙향하였는데, 그 후손들이 이연계(李連桂)를 시조로 하여 대흥 이씨(大興 李氏)로 분관하였기 때문에 본관은 대흥(大興)이다. 조선 태조 이성계의 6촌형이며, 태종에 의해 대흥군(大興君)으로 봉함을 받았다. 대흥 이씨(大興 李氏) 의성 입향조이다. 이연계[?~1407]는 고려 말...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조산 저수지는 도암리에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원래 못 가운데 작은 산이 있었다 하여 조산지라 하였는데 일제 강점기 못을 확장할 때 산을 없애버렸다고 한다. 조산 저수지는 비봉산의 풍부한 수원을 확보하여 주변 일대 농경지에 관개해서 많은 증산을 이루었다. 인근에는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
조선 전기 의성으로 이주해 온 경주 최씨 입향조.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명언(明彦). 관가정(觀稼亭) 최청(崔淸)의 후손이다. 최명후(崔明厚)[?~?]는 사헌부 감찰을 역임하였으며, 선조 연간에 남쪽의 예천 모정리(茅亭里)[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로 이주·개척하여 우거하였다. 후에 정자를 짓고, ‘모운(慕雲)’이라 하였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개편에 따라 평지동과 죽림동을 병합하여 평림동이라 하였다. 평지(平地) 혹은 평림 마을(平林 마을)은 서당이 있었기에 서당 마을이라고도 하는데, 서당 앞에 큰 소나무 숲이 있었으므로 붙여진 이름이라한다. 조선 전기에 평지 마을에는 관원의 관사와 창고가 있었다 하여 창 마을로 불러오다가, 비봉산의 봉황은 대나무 열매를 먹...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덕지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행현 저수지는 행현(杏峴)이라는 마을 이름에서 유래된 2종 저수지이다. 옛날 어떤 선비가 고개를 넘어 오는데 잠시 나무 그늘에 쉬다가 쳐다보니 살구가 있어 살구재라고 한 것이 행현(杏峴) 마을의 유래이다. 주변에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한 천년 고찰 대...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삼분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홍연 저수지는 대조지(大鳥池)[다인면 외정리 소재 1985년 용도 폐지]와 함께 조선 시대부터 존속되고 있는 2종 저수지이다. 안계면에서 국도 28호선을 따라 경상북도 예천 방면으로 6.5㎞ 정도 가면 도로변에 홍연 저수지가 있다. 주변에 비봉산(飛鳳山)[579.3m]과 1368년(공민왕 17)에 왕사인 지공 국사와 나옹...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도암리에 있는 농업 관개용 저수지. 효천 저수지는 대구광역시에서 국도 5호선, 중앙 고속 도로를 이용하여 의성 IC에서 내려 안계 방면 국도 28호선을 따라 다인면까지 간 다음 대곡사(大谷寺) 방면으로 5분 정도 지나면 나타나는 1종 저수지이다. 마을 사람들은 거무내못이라 한다. 마을 이름 거미내[주천(蛛川)]가 와전 되어 거무내가 된 것이다. 마을에서 동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