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병들 회맹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467
영어공식명칭 Hoemaengsi of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작가 서재겸

[정의]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이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에 모여 회맹(會盟)할 때 나라를 위한 충성을 맹세하면서 지은 시

[개설]

1592년 4월 21일 왜적이 대구성을 함락하자 대구부사 윤현이 4월 24에 관군을 이끌고 팔공산으로 피신했다. 결국 대구[지금 대구광역시]는 완전히 왜적의 수중에 떨어지고 말았다. 대구지역 유림들은 1592년 7월 6일 임하(林下) 정사철(鄭師哲)[1530~1593], 서사원을 중심으로 부인사에서 의병을 조직하였다. 1596년 3월 3일에 팔공산에서 전국 각지에서 모인 의병장들이 제1차 공산회맹을 가졌다. 1596년 9월 28일에는 영남지역의 의병장을 중심으로 제2차 공산회맹이 열렸는데, 이때 서재겸, 손처약, 최인 등이 참여하여 회맹시를 지어 의기(義氣)를 다졌다. 죽계(竹溪) 서재겸(徐再謙)[1557~1617]은 제2차 공산회맹에서 회맹문(會盟文)을 지어 낭독하고, 회맹시(會盟詩)를 짓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내용]

서재겸은 「원운시(原韻詩)」에서 난리[임진왜란]에 임금께서 근심하는데 내 한 몸 보존하겠는가 하면서 큰 칼을 잡고 전장에 나서는 늠름한 모습을 노래하여 의기를 북돋우었다. 이때 회맹에 참석한 최인, 채선수, 최동보 등 의병장들은 서재겸의 회맹시에 차운(次韻)하여 화답시를 지어 의기를 다졌다. 이외에도 우락재(憂樂齋) 최동보(崔東輔), 병족당(幷足堂) 최여호(崔汝琥) 부자, 오매정(五梅亭) 손처약(孫處約), 송암(松巖) 홍한(洪翰), 박충윤(朴忠胤), 낙의재(樂義齋) 이눌(李訥), 인심재(忍心齋) 김응하(金應河), 박대무(朴大茂), 박연정(博淵亭) 김태허(金太虛), 면와(勉窩) 황경림(黃慶霖), 소암(蘇菴) 김대성(金大成), 칠송당(七松堂) 이응벽(李應璧) 등도 차운시를 지어 결전을 앞두고 전의를 불태웠다.

1) 「원운시」[지은이 서재겸]

세난군우개보신(世難君憂豈保身)[난리에 임금께서 근심하는데 어찌 몸 보존하랴]

유감일사도이진(猶甘一死島夷塵)[왜적 물리친다면 기꺼이 죽으리]

수장장사의천검(須將壯士倚天劍)[모름지기 장차 장사가 의천검을 잡고]

침소용유도파진(沈笑庸儒渡灞津)[용렬한 선비 껄껄 웃으며 파진을 건너네]

백행여풍충가상(百行餘風忠可尙)[백행의 끼친 풍습이 충을 숭상하니]

삼한고국명유신(三韓故國命維新)[삼한의 옛 땅에 유신의 천명 있으리라]

교남자차다생색(嶠南自此多生色)[영남 땅은 이로부터 많은 생색 날 것이니]

불독고명유후인(不獨高名遺後人)[고명한 이름 후세에 남길 뿐만 아니네]

2) 한천(寒川) 최인(崔認)이 서재겸의 시[「원운시」]에 차운한 시

장부당작사군신(丈夫當作死君身)[장부는 마땅히 임금을 위해 죽어야 하는데]

석갈의융락부진(釋褐衣戎樂赴陣)[갈옷 벗고 갑옷 입고 즐거이 군진으로 달려갔네.]

수철녕용기하서(手鐵寧容機下鼠)[창검을 손에 드니 어찌 왜적을 용납하리]

혈釯장세도두진(血釯將洗渡頭津)[장차 피 묻은 칼날을 나루에서 씻으리라.]

기감구역도이혼(期戡區域島夷魂)[기필코 이곳의 왜적을 평정하여]

서견산하물색신(庶見山河物色新)[산하의 물색이 새로워지는 것 볼 수 있으리라.]

의사응지맹혈의(義士應知盟血意)[의사들은 응당 맹혈의 뜻 알 것이니]

동근시석제사인(同勤矢石濟斯人)[다 함께 부지런히 활과 돌로 싸워서 이 사람들을 구하세.]

3) 달서재(達西齋) 채선수(蔡先修)가 서재겸의 시[「원운시」]에 차운한 시

차세지다사의신(此世知多死義身)[이 세상에 의를 위해 목숨 바친 이 많음을 아노니]

공장시석소광진(共將矢石掃狂塵)[함께 화살과 돌로 미친 왜적 쓸어버리세.]

거배공악군휴일(擧杯公岳軍休日)[공산에서 군대가 쉬는 날 술잔을 들고]

세일금호제후진(洗釰琴湖霽後津)[금호강 비 개인 나루에서 칼을 씻으리라.]

제거요요수욕속(除去妖腰須欲速)[사악한 무리 모름지기 속히 제거코자]

축래예기갱여신(畜來銳氣更如新)[날카로운 기운을 쌓으니 더욱 새로운 듯하네.]

맹반삽혈남아사(盟盤歃血男兒事)[맹세의 소반에 피를 마시는 것은 남아의 일이요]

성대청아양차인(聖代菁莪養此人)[성대의 많은 선비들이 이들을 길러냈구나.]

[의의와 평가]

서재겸이 회맹시를 짓고 의병장들이 차운하여 회맹시를 지어, 왜적에 대한 서릿발 같은 적개심과 임금을 향한 충성심을 읊었다. 임진왜란이라는 전대미문의 참혹한 전란을 맞아 구국의 깃발을 들고 팔공산에 모여든 영남지방 의병들의 구국 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