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천산 망곡봉 이야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308
영어공식명칭 A Tale of Manggokbong Peak at Neungcheonsan Mountain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관련 지명 「능천산 망곡봉 이야기」 -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여대익|여상제|숙종|경종|영조
모티프 유형 지명유래담|효행담|충성심담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부동에 위치한 능천산의 효천과 망곡봉에 관하여 전해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김종대, 『우리고장 대구(지명유래)』(대구시교육위원회, 영문사, 1988)

김기현, 『대구 동구의 오래된 이야기』(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 2013)

[내용]

능천산(綾泉山)에는 조선 숙종 및 영조 연간에 살았던 여대익(呂大翊)[1681~1742]이 효와 충을 실천한 설화가 전해 내려온다. 조선 경종 때 여대익능천산 인근에 살았다. 여대익은 아버지[여상제(呂尙齊)]가 병환이 나자 의복을 벗지 않고 숙식을 같이하며 돌보았다. 또한 아버지 대변을 맛보고 아버지 병환의 정도를 파악했을 뿐아니라 지혈을 해 부친의 생명을 구하고자 노력했다.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능천산에 묘소를 정하여 시묘살이를 했다. 어느 해 가뭄이 들어 마을 사람들이 물을 구하기가 힘들었는데, 여대익의 정성에 감복한 산신령이 나타나 샘터를 알려주었다. 샘터에서 두 자[약 60㎝]도 채 파기 전에 물이 솟아났다. 후세 사람들이 이 샘을 효천(孝泉)이라고 불렀다.

여대익은 충성심도 대단했다. 조선 숙종(肅宗)[1661~1720]이 승하하자 능천산에 망곡단(望哭壇)을 쌓고 슬피 울며 세월을 보냈다. 숙종 시묘살이가 채 끝나기도 전에 경종(景宗)[1688~1724]이 승하했다는 비보를 듣고 또 산을 내려오지 않았다. 고을 사람들이 그곳에 집을 지어드렸으나 끝내 집에 들어가지 않고 세상을 떠났다. 여대익의 묘 옆에 그 때 지은 집이 있었는데, 여대익의 호를 따 영모제(永慕齊)라고 불렀다. 그 후 영조(英祖)[1694~1776]는 여대익에게 「증통정대부승정원좌승지(曾通政大夫承政院左承旨)」라는 관직을 내렸다. 능천산에 망곡단을 쌓았던 봉우리는 원래 이름이 벌바위였는데, 여대익이 지은 망곡단에서 이름을 따 망곡봉(望哭峰)이라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능천산 망곡봉 이야기」여대익의 효행과 충성심을 주요 모티프로 하고 있으며, 효천(孝泉)과 망곡봉(望哭峰)의 유래담을 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