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0570
한자 李休運
영어공식명칭 Lee Hyuun
이칭/별칭 가회(嘉會),석병(石屛)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인·학자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동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97년 1월 8일연표보기 - 이휴운 출생
활동 시기/일시 1662년 - 이휴운 성균관 사예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66년 - 이휴운 용양위 부사용에 제수
몰년 시기/일시 1668년 8월 29일연표보기 - 이휴운 사망
거주|이주지 이휴운 거주지 -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 지도보기
수학|강학지 연경서원 -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수학|강학지 오계서당 - 경상북도 안동시
수학|강학지 이휴운 수학지 -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
묘소|단소 이휴운 묘소 - 경상북도 경산시
성격 문인
성별 남성
본관 영천
대표 관직|경력 성균관 사예|용양위 부사용

[정의]

조선 후기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에 거주한 문인 학자.

[가계]

이휴운의 본관은 영천(永川), 자는 가회(嘉會), 호는 석병(石屛)이다. 고려 말 군기시소윤을 역임한 낙은(洛隱) 이헌(李軒)의 후손으로,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현손[증손자의 아들]이다. 할아버지는 이영승(李令承), 아버지는 이사경(李士慶), 어머니는 달성서씨(達城徐氏)로, 서언겸(徐彦謙)의 딸이다. 부인은 영양남씨(英陽南氏)로, 남우(南宇)의 딸이다. 5남 1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행직(李行直), 이우직(李友直), 이정직(李珽直), 이언직(李言直), 이심직(李心直)이고, 딸은 전유장(全有章)에게 시집갔다.

[활동 사항]

이휴운은 1597년(선조 30) 1월 8일에 태어나 대구부 해안현(解顔縣)[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해안동]에서 살았다. 1611년(광해군 3) 15세 때 대구광역시 북구에 있는 연경서원(硏經書院)에 가서 『중용(中庸)』을 공부했다. 1614년(광해군 6) 18세 때 종형 이영운(李榮運)과 함께 예안(禮安)[지금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의 건지산(搴芝山)에 가서 책을 읽었다. 이듬해인 1615년(광해군 7)에 예안의 오계서당(迃溪書堂)에 가서 종숙인 선오당(善迃堂) 이시(李蒔)에게 수학하였다. 이때 동문들과 계를 만들어 “인을 돕는[보인(輔仁)]” 뜻을 밝혔는데, 그 규약이 매우 엄격하였다. 1617년(광해군 9)에 사수(泗水)[지금 대구광역시 북구 사수동]에 가서 한강(寒岡) 정구(鄭逑)에게 가서 『퇴계집(退溪集)』, 『심경(心經)』, 『용학문목(庸學問目)』등을 배웠다.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켜 인조가 공주산성(公州山城)으로 피란을 떠나자, 채선견(蔡先見), 민겸동(閔謙同), 한명욱(韓明勖), 이종문(李宗文)과 함께 의병을 일으켰다. 그러나 얼마 뒤에 이괄의 난이 평정됐다는 소식을 듣고 의병을 해산시키면서 군량미 일체를 국가에 헌납하였다. 1630년(인조 8)에 입석리(立石里)[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입석동]에 터전을 마련하고, 금호강가의 적지산(赤池山) 아래에 적지정사(積智精舍)를 건립한 뒤에 벗들과 함께 거문고를 연주하며 시를 읊었다. 이후 또 직경당(直敬堂)을 세운 뒤에 경전과 역사서 등을 두루 탐독했는데, 특히 『심경』을 읽고 그 내용을 도설(圖說)로 표현했다. 1662년(현종 3) 유일(遺逸)로 천거되어 성균관사예에 제수되었고, 1666년(현종 7)에 용양위부사용에 제수되었다. 1668년(현종 9) 8월 29일에 세상을 떠나니, 향년 72세였다.

[학문과 저술]

이휴운의 저서로 2권 1책의 『석병집(石屛集)』이 있다.

[묘소]

이휴운의 묘소는 경상북도 경산시 고모산(顧母山)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