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4년 공동묘지 위치 선정 반대 운동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0305
한자 千九三四年共同墓地位置選定反對運動
영어공식명칭 Oppositon Movement on selecting the Location of a Cemetery in 1934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일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934년 10월 3일연표보기 - 1934년 공동묘지 위치 선정 반대 운동 발생
발생|시작 장소 1934년 공동묘지 위치 선정 반대 운동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 지도보기
성격 사회운동

[정의]

1934년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에서 발생한 공동묘지 선정 반대운동.

[개설]

동구 둔산동 주민들이 급수의 위생문제, 동촌유원지의 풍치문제, 교육문제, 교통문제 등을 근거로 공동묘지 선정에 대해 반대 운동을 전개하였다.

[역사적 배경]

일제강점기 대구부[지금 대구광역시]의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자 그에 따른 사회적 문제로 묘지 부족 현상이 심화되었다. 전통적으로 매장 풍습이 강한 우리 장례 문화를 고려할 때 충분히 발생할 수 있는 사안이었다. 당시 대구부의 공동묘지는 대구부 외곽에 있는 성당동[지금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당동]을 비롯하여 여러 곳을 운영한 것으로 보인다. 1930년대를 경과하면서 공동묘지 공간 부족이 심화되어 대구부의 공동묘지 확장 계획이 수립되었다. 1931년 10월 대구부는 공동묘지를 확장하기로 결정하고, 대구부 외 성당동 공동묘지와 인접한 산림 3천 평을 1931년 예산 중 2백 40만에 매입하여 공동묘지를 조성할 계획을 추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묘지 공간 부족 현상이 더욱 심화되자 대구부는 1934년 하반기에 새로운 공동묘지 공간을 확보하기로 하고, 그 예정지로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당시 달성군 해안면 둔산동]을 설정하였다.

[경과]

1934년 하반기 대구부는 성당동 공동묘지 공간이 부족해지자 공동묘지를 신설하고자 하는 계획을 세워 추진하면서, 그 대상지로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을 설정하였다. 대구부의 공동묘지 둔산동 확장 계획 소식을 접한 해안면[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불로동, 봉무동, 도동 일대]주민들은 반대 입장을 표명하였다. 이에 해안면 주민들은 대표를 선정하였다. 1934년 10월 3일 대표로 선정된 일본인 5명은 달성군청을 방문하여 반대 의견을 진정하였다. 반대 주장의 내용은 공동묘지 설치에 따른 식수 오염을 우려한 위생문제를 가장 강하게 내세웠다. 다음으로 대구부민들이 많이 애용하는 동촌유원지의 풍치가 악화된다는 점을 내세워 반대 의견을 내었다. 그다음으로 공동묘지로 예정된 둔산동 주변에 보통학교[오늘날 초등학교]가 있어 교육상 좋지 않다는 교육문제를 내세웠다. 마지막으로 행락철이 되면 동촌[지금 대구광역시 동구 동촌동 일대]의 교통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묘지 건립이 이루어진다면 교통상 문제가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의견이었다.

[결과]

동구 둔산동 주민들의 공동묘지 신설 반대 운동을 접한 관계 당국은 둔산동에 설치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 이에 둔산동 주민들의 의견이 수용되면서 공동묘지의 둔산동 신설 계획은 무산되었다.

[의의와 평가]

동구 둔산동 주민들의 공동묘지 둔산동 신설 반대 운동은 강압적인 일제 식민정책 속에서 주민들의 자발적인 의견을 관철시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그러나 대구부의 인구 증가에 따른 묘지 부족 현상이 필연적인 요소이기에 관계 당국의 과제는 더욱 심화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