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376
한자 八公山桐華寺重修釋迦如來舍利塔碑銘幷序
영어공식명칭 An inscription on the Buddha stupa of Donghwa Temple in Mt. Palgong, and the prefac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박영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836년 -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허훈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907년 -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허훈 사망
저술|창작|발표 시기/일시 1902년연표보기 -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창작
편찬|간행 시기/일시 1910년연표보기 -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간행
배경 지역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 -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지도보기
성격 비지류|비명
작가 허훈

[정의]

근대시기 학자인 허훈이 지은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동화사 속암인 금당암에 있는 사리탑 비명.

[개설]

허훈(許薰)[1836~1907]의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자는 순가(舜歌), 호는 방산(舫山)이다. 이익(李瀷)-안정복(安鼎福)-황덕길(黃德吉)로 이어진 성호학파의 실학을 이은 허전(許傳)의 집지문인(執贄門人)이다. 이이(李珥)의 성리설이 이황(李滉)의 견해와 다른 문제들을 비판하였고, 이황의 학문적 정통성을 재천명, 계승하였다.

[구성]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는 서문(敍文)과 비명(碑銘)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서는 석가여래사리탑의 역사와 비명을 쓰게 된 연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비명에서는 21행으로 자구(字句)의 제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노래하였다.

[내용]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에 언급된 석가여래사리탑의 역사는 다음과 같다.

“신라 진흥왕 10년 기사년(549) 양나라 소양제가 불사리(佛舍利) 일함을 보내와 왕이 백관을 거느리고 나라 안으로 들어오는 행차를 맞이하였다. 진평왕 4년 임인년(582)에 원효대사에게 명하여 사리 1200과를 본사에 보관하게 하였고, 헌강왕 원년 을미년(875) 삼강대사가 속암(屬菴)인 금당(金堂)에 이탑하여 봉안하였다. 조선조 중종 28년 갑진년(1533)에 승려 종관·해달로 하여금 중수하게 하였고, 숙종 원년 갑인년(1675)에 승려 도수가 다시 수리하였다. 철종 4년 임자년(1853)에 승려 만혜가 이어서 수리하였는데, 근래에 또 기울어 무너졌다. 빈도의 스승인 응회상인이 시주를 받아 장인을 모집하여 새것과 같게 하였다. 금강계단을 축조하여 탑과 서로 마주하게 하여서 예배를 이바지할 수 있게 설치하였다. 사면을 담으로 두르니 서 있는 모습이 장엄하였다. 비로소 광무 5년 신축년(1901)에 일을 시작하여 다음 해인 임인년(1902) 정월 모일에 사리함을 안치하였다.”

[특징]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는 대화체를 통해 사리탑의 역사를 서술하고, 불가의 어휘를 적절히 활용하여 비명을 지었다.

[의의와 평가]

「팔공산 동화사 중수석가여래사리탑비명 병서」는 승려의 말을 빌려 동화사에 보관된 사리의 유입경로와 사리탑 제작의 역사를 시대순으로 상세히 서술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