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40201324
영어공식명칭 The History of the Buinsa Temple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967-28[신무동 356-1]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김석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12년 5월 27일 - 「부인사의 내력」 신무동 문화해설사 권오진 채록
관련 지명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967-28[신무동 356-1]
채록지 「부인사의 내력」 -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로 967-28[신무동 356-1]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선덕여왕
모티프 유형 건축물 명칭 및 제사 유래담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에 위치한 부인사에 명칭 유래와 관련해 전해오는 이야기.

[개설]

「부인사의 내력」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에 위치한 부인사선덕여왕(善德女王)[?~647] 이 창건했다는 연기설화로 인해 생겨난 지명 유래담이다.

[채록/수집 상황]

이정웅, 『팔공산을 아십니까』(그루, 1993)

정우락, 『문화공간 팔공산과 대구』(글누림출판사, 2009)

김기현, 『대구 동구의 오래된 이야기』(대구광역시 동구 팔공문화원, 2013)

인터뷰(신무동 문화해설사 권오진, 남, 55세, 2012. 5. 27.)

[내용]

1232년(고종 19) 몽골군이 고려를 침입해 현재 대구광역시 동구 팔공산에 있는 부인사에 보관하고 있던 초조대장경을 불태웠다. 또한 1928년 부인사에 화재가 일어나 다른 건물들도 소실되었다고 한다. 부인사가 모두 불타버린 뒤 팔공산 일대에 가뭄과 장마가 들어 4년 동안 흉년이 거듭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하늘에서 선덕여왕을 모시고 재를 올리라는 소리가 들렸다고 한다. 그 후 선덕여왕의 사당인 숭모전(崇慕殿)을 짓고 재를 지내니, 흉년이 그쳤고 곡식이 썩는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고 한다. 지금도 음력 3월에 선덕여왕을 기리는 ‘선덕여왕 숭모대재’가 열린다.

[모티프 분석]

「부인사의 내력」선덕여왕부인사에 모시게 된 유래담을 주요 모티프로 삼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